경제·금융

두 국정원장 구속 여야 엇갈린 반응

우리당 “국민이 납득할지 의문”<br>민주당 “국민정부 흠집내기용”<br>한나라 “불똥 튈수도” 예의주시

여야는 16일 국민의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임동원ㆍ신건 씨의 구속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DJ의 ‘적자’임을 강조하는 민주당은 이번 사안을 ‘국민이 정부 흠집내기’라고 규정, 본격적인 공세에 나섰고 열린우리당은 여론의 추이를 주시하면서도 DJ측의 ‘진노’를 사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표정이다. 한나라당은 ‘인권 정부’를 자처한 국민의 정부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에 경악을 금치 못하면서도 적극적인 공세는 삼가는 분위기다. 이낙연 민주당 원내대표는 “현 정권이 정치적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전임 대통령을 흠집내려 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그 근거로 ▦검찰 수뇌부에서 불구속 의견이 제시됐으나 막바지에 확연한 이유도 없이 구속영장 청구가 결정된 점 ▦동국대 강정구 교수나 두산그룹 소유주에 대한 불구속 결정과의 형평성을 깨면서까지 구속영장을 청구한 점 등을 들었다. 이 대표는 특히 “법무부가 전직 국정원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방침을 청와대에 사전보고 했을 텐데도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은 마치 아무 것도 몰랐던 것처럼 ‘구속은 지나치다’며 이중플레이를 했다”고 여권의 ‘이중성’을 비난했다.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국민이 납득할 지 강한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하는 등 동교동 쪽에 미칠 정치적 파장을 경계했다. 최근 동교동 방문으로 조성된 화해무드가 깨지고 ‘호남민심’을 완전히 잃어버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우리당은 또 문민정부나 권위주의 정권 시절 도청도 수사해야 한다고 검찰에 촉구하는 한편 두 전직 원장이 불법도청을 근절하지 못한 지휘책임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도청에 직접 개입했다고 볼 수 없다는 입장도 발표했다. 한나라당은 직접적인 공세를 자제하며 ‘불똥’이 튀지 않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근혜 대표의 DJ예방으로 형성된 우호 분위기를 깰 필요가 없고 이번 일이 자칫 부메랑으로 되돌아올 가능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홍석현 전 주미대사 검찰 조사에서 한나라당 관련 부분이 터져 나올 상황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안기부 불법도청팀인 ‘미림팀’사건이 걸려 있다는 점도 한나라당의 운신 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