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번엔 화학계열… 삼성종화-석화 합병

3세 지배구조 정리 가속화


삼성종합화학과 삼성석유화학이 합병한다. 삼성SDI와 제일모직 합병 등 이번주 들어 삼성그룹 계열사 간 합병 결의가 연이어 터져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재계 관계자들은 "사업적으로 중복되거나 유사한 업종 간 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지만 삼성가 3세들 간 지배구조 정리의 측면도 강하다"고 분석했다.

삼성종합화학과 삼성석유화학은 2일 이사회를 열어 양사의 합병을 결의했다. 삼성종합화학이 신주를 발행해 삼성석유화학 주식과 교환하는 흡수합병 방식으로 삼성종합화학과 삼성석유화학의 합병비율은 각각 1대2.1441이다. 합병회사의 명칭은 '삼성종합화학'이다.


이들 두 회사는 오는 18일 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쳐 6월1일까지 합병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삼성종합화학 측은 이번 합병결의에 대해 "현재 석유화학 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전방제품의 수요 위축과 중국 석유화학제품 자급률 증가, 셰일가스 영향 등으로 회복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러한 대내외 경영환경을 극복하고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병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으로 삼성종합화학은 삼성석유화학의 중간화학제품(다운스트림) 사업과 자회사인 삼성토탈의 기초화학제품(업스트림), 그리고 에너지사업 간 유기적인 가치사슬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존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장기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삼성종합화학은 1988년 설립돼 2003년 세계적 화학회사인 프랑스 토탈과의 5대5 합작을 통해 삼성토탈을 신설하고 관련사업을 이관했다. 현재 삼성토탈 지분 50%를 보유한 지주회사다. 삼성토탈은 나프타를 원료로 에틸렌·프로필렌·C4유분 등 기초유분과 스티렌모노머ㆍ파라자일렌 등 화성제품, 에너지 제품군까지 일관생산 체제를 갖춘 종합 에너지·석유화학회사다.

삼성석유화학은 1974년 설립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원료인 고순도 테레프탈산(PTA) 제품(연산 200만톤)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한편 이번 합병 결의로 삼성석유화학의 최대주주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합병법인의 6대주주(4.91%)로 내려간다. 최대주주는 삼성물산(36.99%)이고 삼성테크윈(22.56%), 삼성전기 등이 뒤를 잇게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