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계, 사회공헌기금 출연의사"

金노동에 "임금인상 자제폭 만큼" 밝혀

"재계, 사회공헌기금 출연의사" 金노동에 "임금인상 자제폭 만큼" 밝혀 • 金노동 "法기반 勞使타협 최대도출" • 재계 압박땐 수익구조 왜곡 우려 노동계가 올해 임금인상 요구를 자제할 경우 재계가 이에 대한 화답으로 일정 금액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출연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 임금인상폭과 사회공헌기금 출연규모를 둘러싼 재계와 노동계의 임단협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 김대환 노동부 장관은 20일 현대와 기아ㆍGM대우ㆍ쌍용 등 4개 자동차회사 노조가 공동으로 요구하고 있는 사회공헌기금과 관련해 “노조가 임금인상 조건을 일정 부분 조정한다는 전제 아래 조정된 금액만큼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전환해 출연할 의사가 있다는 견해를 재계 쪽에서 전해왔다”고 밝혔다. 김 장관의 발언은 노조가 임금인상폭을 내릴 경우 재계 쪽이 그 차액만큼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출연할 수 있다는 의사를 정부 쪽에 공식적으로 전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재계 쪽이 임금인상 요구 자제를 전제조건으로 했다는 점에서 양쪽의 입장을 최종 조율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현대차 노조는 올 임단협 조건으로 기본급 대비 10.48%(12만7,171원) 임금인상과 당기순이익 30% 노조 지급, 당기순이익 5% 사회발전 및 사회공헌기금 출연 등을 회사측에 제시했다. 이어 자동차 4사 노조는 지난 19일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자동차회사들이 당기순이익의 5%를 사회공헌기금으로 출연하지 않을 경우 공동 투쟁하겠다며 사회공헌기금 문제를 공론화시켰다. 정승량기자 schung@sed.co.kr ◇사회공헌기금이란=노동계, 특히 자동차회사 노조들이 비정규직 등 사회취약계층보호와 자동차산업 발전을 위해 노사공동 출연으로 조성해야 된다고 내놓은 아이디어. 노동계는 이 기금을 빈민층 자녀를 위한 교육자금 등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입력시간 : 2004-05-20 17:2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