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로봇산업 25조 시장으로 육성

지경부 10년간 3,500억 투입<br>인프라 구축 등 4대 과제 발굴

정부가 앞으로 10년 동안 3,500억원을 투자해 현재 2조원 규모인 로봇산업을 25조원 수준으로 육성, 세계 최고의 로봇 활용국가로 키운다. 이를 위해 대규모 연구개발(R&D), 인프라 구축, 시범보급사업 등이 패키지 형태로 결합된 '4대 로봇 대형 도전과제'를 발굴한다.

지식경제부는 1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홍석우 장관 주재로 '로봇 미래전략(2013∼2022)' 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로봇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김학도 지경부 신산업정책관은 "지난 10년간 국내 로봇산업이 10배 이상 성장하는 등 큰 발전과 경제적 기여가 있었으나 국내외 기술ㆍ시장 등 여러 여건의 변화로 새로운 로봇 중장기전략이 필요한 시점이 왔다"고 밝혔다.


정부가 내놓은 그림을 보면 로봇산업을 신산업으로 바라봤던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주력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사회적 파급효과, 기술적 도전 등을 고려해 4개 과제를 만들었다. ▦극한 재난대응 로봇 개발(1,210억원) ▦로봇 헬스타운 조성(960억원) ▦인간협업형 로봇 공장 구축(675억원) ▦인간친화형 가사지원 로봇 개발(715억원) 등이 포함됐다.

지경부는 사업을 구체화, 내년 7월 예비타당성조사 시행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 개별 로봇 연구 및 보급 중심의 현행 '지능형로봇 개발·보급 촉진법'을 융합·활용·서비스 등 로봇산업 전반의 육성을 촉진할 '로봇활용사회기본법'으로 확대·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로봇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기술의 공용화를 유도해 원천기술개발부터 서비스ㆍ콘텐츠 제작에 이르는 비즈니스 기반 로봇 생태계를 구축하고 국가별 시장에 따른 유망 제품군 선정, 전략적 기술 확보 등을 고려해 글로벌화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로봇산업을 오는 2022년 국내 생산규모 25조원의 주력산업으로 고도화할 방침이다. 국내 로봇시장 규모는 지난해 2조1,464억원 수준으로 육성 정책이 처음 시작된 지난 2003년(1,679억원) 이후 9년간 10배 이상 성장해왔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