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뻥튀기 분양광고 '조심'

호텔 회원권 팔면서 테마파크로 홍보<br>안내책자보다 복도크기 줄인 아파트도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수요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분양시 주요 참고자료가 되는 안내책자나 광고에 아직 확정되지 않은 사실을 확정된 것처럼 표시하거나 뚜렷한 근거 없이 장밋빛 전망만을 제시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또 아파트의 경우 안내책자와는 다르게 건물을 짓는 경우도 심심찮게 나타나 대책 마련 및 투자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강릉 정동진에서 호텔 및 부대시설 회원권을 분양 중인 A업체는 이 일대에 테마파크 및 위락시설이 들어서는 것처럼 광고했다. 또 회사 관계사는 “테마파크 설립이 확정됐으며 사업 안정성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강릉시 관광과의 한 관계자는 그러나 “이 일대엔 호텔사업에 대해서만 승인이 났으며 그 외에 접수된 내용은 없다”며 “(테마파크는) 일단 접수가 되면 개발행위가 가능한지 관련 부서의 검토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확정된 것은 아니며 최악의 경우 (승인이) 안 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또 3,000만원을 투자하면 연 20%의 수익률을 더해 3년 후에 4,800만원을 확정 지급한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요새 펀드의 인기가 높아 투자자를 유치하기 힘들어 확정 수익률을 지급하기로 했다”며 “호텔 등의 공정률이 20%가 되면 회원권을 분양할 수 있는데 이 자금으로 수익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회원권 분양이 안 될 경우 어떻게 재원을 마련할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안내책자와 다르게 지어지고 있는 아파트도 있다. 판교에서 건립 중인 한 아파트의 경우 분양광고(그림 1)에는 계단과 엘리베이터 사이에 엘리베이터 크기만한 공간이 있었지만(빨간선 표시) 시공 도면(그림 2)에선 이 부분이 사라져 전체 복도의 크기가 분양광고에 비해 줄어들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설계 과정에서 일부 수정이 있었지만 안내책자에 ‘이미지 사진은 실물과 다를 수 있다’는 설명이 있었다”고 말했다. 입주 예정자들은 그러나 “이미지 사진과 실물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알지만 분양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면적이 줄어드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