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자·컴퓨터업체 해외생산 확대

원화강세 영향…역수입도 늘어 무역수지 악화

원화 강세로 디지털 전자제품 수출이 위축되면서 전자ㆍ컴퓨터업체들이 해외생산을 크게 늘리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 생산한 디지털 전자제품의 역수입이 급증, 무역수지를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ㆍLG전자ㆍ대우일렉트로닉스ㆍ삼보컴퓨터 등 국내 전자ㆍ컴퓨터업체들은 환율이 세자리까지 떨어지자 국내생산을 줄이고 대신 중국 등 해외생산기지를 풀가동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 곳곳에 생산기지를 둔 이들 기업이 달러 약세 속에서 국내공장의 채산성 악화를 막고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5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4월 MP3플레이어(-64.8%), 에어컨(-52.3%), PC(-53.9%), 노트북컴퓨터(-47.3%), 아날로그TV(-31.3%) 등의 수출이 전년 동월보다 크게 감소했다. 4월 디지털 전자제품 수출은 결국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 줄어든 79억8,000만달러에 그쳤다. 지난달에 비해서는 7억달러나 감소한 것. 일평균 수출액도 3억5,500만달러로 2월(3억9,000만달러)부터 2개월 연속 줄었다. 산자부는 글로벌 기업뿐 아니라 국내기업도 고정환율제로 가격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중국의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반면 국내생산은 조절해 직수출이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동남아 현지공장의 생산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산 디지털 전자제품 수입이 지난해 4월보다 24.3% 급증하며 4월 전체 수입도 3.3% 증가한 45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노트북컴퓨터(7,000만달러ㆍ94.4%), 프린터(3,900만달러ㆍ56%), 컴퓨터 부품(7,500만달러ㆍ41.5%)의 수입 증가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정부는 환율하락 속에서 디지털 전자산업의 국내생산 위축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자부 디지털전자산업과의 한 관계자는 “5월에도 에어컨ㆍ세탁기 등 가전과 컴퓨터류의 국내생산은 대거 조절될 것”이라고 밝혔다. 무역협회의 한 관계자는 “국내생산 위축이 장기화하면 구조조정과 소득감소로 이어져 하반기 경기회복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