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정부, 비상체제 갖추고 사태 주시

일본 정부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며 긴박한 대응에 나섰다. 일본 언론도 긴급방송을 편성해 실시간 속보를 내보내는 등 이번 사건을 매우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는 휴일(근로감사의 날)인 13일 북한의 도발 소식을 듣자 오후 4시 45분께 총리실로 바로 출근해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 등 내각 인사들과 긴급 회의를 갖고 사태 추이와 대응책 마련을 논의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사건을 예의주시하기 위해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간 총리는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에게 “센고쿠 장관과 기타자와 도시미(北澤俊美) 방위상 등에게 관련 정보의 수집과 예기치 않은 사태의 준비에 최선을 다하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일본 정부는 오후 3시20분쯤 총리 관저에 있는 위기관리센터에 긴급 정보 연락실을 설치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주한 일본 대사관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외무성과 방위성이 앞으로의 사태에 대비해 긴밀하게 협력하도록 했다. 일본의 일부 언론들은 정부와 마찬가지로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가며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NHK 방송과 일부 민영방송은 정규방송을 중단하고 긴급 속보방송으로 북한의 해안포 공격과 우리 군의 대응, 이후의 움직임 등을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NHK 방송은 서울 특파원을 연결해 “북한이 연평도 주변 해역이 아닌 육지를 직접 공격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라며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분석했다. 일본 언론들은 남북의 무력충돌이 벌어졌다는 데에 큰 우려를 표시하며 일본에 어떤 영향을 끼칠 지에 주목하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이와 함께 정부가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고 한국 정부를 지지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곧 발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