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생사기로에 선 종금업계/앞날 어떻게 될까

◎일반은과 합병 은행전환 가장유력/증자등 자구로 현상유지 가능성도/IMF요구 승복 자진폐업 “최악카드”부실종금사에 대한 시장퇴출과 통폐합 작업이 눈앞의 현실로 다가왔다. IMF가 12개 부실종금사의 강제퇴출을 요청하며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정부는 한국금융시장의 현실론을 내세워 급격한 구조조정에 난색을 표시하곤 있지만 결국 이같은 요구가 조만간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는게 금융계 주변의 시각이다. IMF 요구내용에 따르면 종금사들은 당장 연말까지 자기자본비율을 4% 이상 끌어올리지 못하면 내년 1월중 파산조치를 면할 수 없다. 또 부실규모가 큰 12개 종금사들에 대해서는 지금이라도 당장 폐쇄시킬 기세다. 종금사들은 이제 사느냐 죽느냐의 기로에 섰고, 설사 살아남는다 하더라도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에 놓였다. 종금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우선 IMF 요청에 맞춰 영업을 포기한 채 자진 폐업하는 방법이다. 이미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갔거나 부실채권규모가 자기자본보다 더 많은 종금사 가운데 일부는 이같은 최악의 수순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방법은 자기자본비율 상향조정과 증자등의 자구노력을 통해 현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부실채권정리기금 발족을 계기로 기존 부실규모를 대폭 축소하는 동시에 신규주주 물색과 대규모 증자를 통해 경영정상화에 나서는 방안이다. 삼양 중앙 나라 대한종금 등이 신규주주 영입과 수천억원대의 대규모 증자계획을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또 서울소재 일부 전환종금사들도 이같은 수순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다른 금융기관과 합병하는 수순도 빼놓을 수 없다. 통합 파트너로 적당한 은행이나 증권사를 물색해 업종을 은행, 증권등으로 바꾸거나 아니면 다른 종금사와 통합해 현행 종금시장에 그대로 잔류하는 방법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유력한 방안은 일반은행과 합쳐 은행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실례로 그룹계열관계에 있는 신한은행과 제일종금의 통합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으며, 금호그룹과 특수관계를 맺고 있는 광주은행과 금호종금 역시 비슷한 통합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증권사와 합치는 방안도 현실성있는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이종석 기자>

관련기사



이종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