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무현 대통령-이명박 당선자 28일 만난다

대선이후 처음…청와대서 만찬 겸해 언론정책등 국정전반 대화

노무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28일 저녁 대선 이후 첫 만남을 갖는다. 양측은 의제에 구애받지 않고 국정 전반에 대해 얘기를 나눌 것이라고 했지만 BBK 특검법 등 예민한 사항들이 적지않아 분위기가 부드럽게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일부에서는 지난 2002년 대선 직후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노무현 당선자 간의 회동을 토대로 언론 대응방법 등에 대해 노 대통령이 ‘훈수’를 둘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양측이 밝힌 회동시간은 28일 오후6시30분. 청와대 측에서는 문재인 비서실장과 천호선 홍보수석 겸 대변인, 이 당선자 측에서는 임태희 당선자 비서실장과 주호영 당선자 대변인이 배석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대통령 영부인 권양숙 여사와 이 당선자의 부인 김윤옥 여사는 함께 하지 않는다. 첫 회동의 분위기가 단순히 덕담을 나누는 수준이 아니라 실무적이 될 것임을 엿볼 수 있다. 천 대변인도 “의제를 정하지 않고 국정 전반에 대해 허심탄회한 대화를 가질 것”이라고 말해 회동은 사전에 정해진 주제 없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다변’인 노 대통령의 스타일을 볼 때 국정운영 과정에서 겪었던 애로를 가감 없이 전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범여권의 한 관계자는 “2002년 당시 김 대통령은 노 당선자에게 언론과 일정한 거리를 두라고 권고한 것으로 안다”면서 “이번 회동에서도 언론정책에 대한 얘기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경제와 남북 문제에 대한 얘기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참여정부가 인위적인 경기부양을 하지 않았던 만큼 차기 정부에 부담이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수 차례나 밝혀 일단 “참여정부 때문에 골치 아픈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을 건넬 것으로 예상된다. 남북문제에 대해서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경험을 전하면서 평화체제 전환과 종전 선언 등 현안에 대한 조언을 해줄 것으로 관측된다. 회동의 성격상 노 대통령이 말을 많이 하고 이 당선자는 듣는 위치에 설 것 같지만 사안에 따라서는 이 당선자가 자신의 정책운영 스타일을 강조하면서 적극적으로 반론을 제기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언론정책에서는 이 당선자가 노 대통령의 ‘잘못’을 지적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