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프론티어사업단장 불공정선정 의혹

과학기술부가 총 3조4,000억원이 투여되는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을 추진하면서 후보평가 결과를 무시하고 사업단장을 불공정하게 선정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박상희 의원(민주)은 지난 99년 프론티어사업단장 선정 당시 과기부가 평가위원들이 참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2차 평가를 실시, 1차 평가에서 3위를 한 후보를 사업단장으로 최종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각 과제마다 연간 100억원씩, 향후 10년간 1,000억원이 지원되며 전체 규모는 정부 2조3,000억원, 민간 1조1,000억원 등 총 3조4,000억원이 투여되는 대규모 국책연구사업이다. 박 의원은 "당초 사업단장 선정 평가 계획에는 평가위원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2차 서면ㆍ발표 평가를 실시하기로 돼 있었다"면서 "하지만 과기부는 당시 평가위원들을 참석시키지 않은 채 자체적으로 평가회를 열어 1차 평가에서 점수가 가장 나쁜 정부출연 연구기관 출신 후보를 단장으로 선정했다"고 주장했다. 과기부 내부 자료에 따르면 당시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장과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단장으로 선정된 유모씨와 박모씨는 1차 평가에서 모두 3위였다. 박 의원은 또 지난해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단' 단장을 선정할 때 평가 순위 1위였던 조모 박사가 사퇴한 뒤 평가 순위 3위의 유모씨가 후임을 맡은 경위에도 의혹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올해 새로 출범한 9개 사업단의 단장 후보 평가에서 2차 민간평가위원 27명 중 18명이 최종 단장 선정자와 같은 학교나 학회 출신인 것으로 드러나 공정성이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국회 과기정통위는 이와 관련, 오는 18일 과기부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서정욱 전 장관, 프론티어사업 추진기획위원회 간사였던 강주명 서울대 교수, 백융기 연세대 교수, 전자부품연구원 신상모 박사 등을 소환했다. 연성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