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오송, 보상비 노린 '주택 신축' 붐

"보상비 더 많이 받는다"…두달새 20여채

2025년까지 호남고속철도 오송분기역 주변에 친환경적 신도시가 들어선다는 계획안이 발표되면서 이 일대 거주민들이 향후 받게될보상비를 노리고 `주택 신축'에 나서고 있다. 충북도의 도시 계획안이 발표된 이후 두달여간 청원군 강외면 오송리 1구역 일대에 들어선 조립식 주택은 줄잡아 20여채. 주택 신축에 나선 사람들 대부분은 이 지역 거주민들이지만 실제로 거주 목적을위해 집을 짓는다기 보다는 향후 토지와 함께 주택보상을 받으려고 주택신축에 나섰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오송리 한 주민은 "두달 전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안이 발표된 이후 1구역에만조립식 주택이 꽤 들어서고 있다"며 "어떤 사람들은 함께 돈을 모아 토지를 구입한뒤 집 짓기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고 전했다.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었던 이 지역은 도시계획안 발표 뒤로 농지가 관리지역으로형질변경되면서 주택 신축이 가능해 졌고 현재는 외벽 색깔만 다른 조립식 주택들이10여m를 사이에 두고 도로를 따라 길게 늘어서 있다. 이렇듯 최근 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땅에 집을 짓는 일'이 곧 `더 높은 보상비를 받는 길'로 받아들여지고 있기도 하다. 한 주민은 "주변에 들어서게 될 의료과학단지로 보상비를 받은 사람들이 `주택신축으로 좀 더 많은 보상비를 받았다'는 얘기를 전했다"며 "그런 얘기를 들은 이곳 주민들이 솔깃해 하는 건 당연한 일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 지역 한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도 "주택 신축을 하면 땅을 놀리는 것보다 높은 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 게 당연한데 가만히 있겠느냐"며 "어차피 떠나게 될 땅돈이라도 많이 받고 나가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아직은 `떴다방' 같은 부동산 투기꾼들이 몰려오고 있지는 않지만 도시 건설사업이 본격화되기 전인 향후 4-5년간 이 지역 주민 명의를 이용한 외지인의 토지 매입 등 전문적 투기세력의 등장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인근 한 주민은 "구체적인 사업계획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 더 많은 보상비를 노린 주택신축이 되고 있는 만큼 외부 투기세력이 들어올 가능성도 없지 않다"며 "새집이 늘어날 수록 실제 거주하지 않는 집도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관련 당국이 보상비를 노린 주택신축을 막을 방법은 없다. 청원군청 관계자는 "오송리 일부지역의 농지가 관리구역으로 바뀌어 건물신축이가능해졌다"며 "하지만 보상비를 높이려 건물을 짓는 행위에 대해서 구체적인 신도시 계획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라 현재로서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