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울산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 제동

교통체증 소통대책 요구 심의 불허키로…롯데이어 드림주택·가람등도 적용방침

울산 도심 일대에 최근 대형 건설사들이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짓겠다며 무더기로 건축허가를 신청하자 도심 교통대란을 우려한 울산시가 교통영향평가심의를 통해 잇따라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시의 이 같은 조치는 건물이 들어서는 일대가 만성 교통체증 지역이어서 특단의 소통대책 없이 허가를 내줄 경우 교통수요 폭증으로 도심 교통난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22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롯데건설㈜이 중구 옛 코리아나 호텔부지에 신축하려는 지하 6층 지상 33층 짜리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교통영향심의를 최근 실시한 후 롯데측의 소통대책이 미흡하다며 보완해 다시 신청토록 반려했다. 시는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1차 신청된 롯데측의 교통영향 심의와 지난 4월말의 2차 심의에서도 보완 지시를 내린바 있다. 시는 보완ㆍ반려 사유로 ▦주변 부지 매입을 통한 1개 차선 확보 ▦진ㆍ출입구 추가 설치 ▦출구 가속차선 확보 등을 요구했다. 시는 이 같은 보완이 없을 경우 교통영향평가 심의 통과를 불허할 방침이다. 시는 또 남구 신정동 구 고속버스터미널 부지에 드림주택㈜이 추진 중인 주상복합아파트와 중구 우정삼거리 일대 가람건설산업㈜의 주상복합 건물, 남구 무거동 신복로터리 일대에 예정된 왕종합건설㈜의 주상복합 등 최근 잇따라 신청된 30층 이상, 200~300세대의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 신축건에 대해서도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엄격하게 벌일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해당 신축부지들은 대부분 울산도심의 교차로나 기존 건물들이 밀집한 곳에 위치, 평소에도 심각한 교통체증으로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라며 “이들 건물은 하루 1,000대 이상의 차량 통행이 예상되는 만큼 교통영향 심의를 엄격히 진행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교통 전문가들도 “각 교차로는 일일 1만여대의 차량들이 통행, 도심 체증의 주원인”이라며 “이 일대에 대규모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서면 기존의 소통대책과는 다른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