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선풍기로 시원한 여름나기

전기가 없던 시절, 해가 지면 동네는 암흑 천지였다. 여름철 저녁을 먹을라치면 호롱불 하나로 밥상을 비추는 것은 역부족이다. 그러니 저녁밥은 어두컴컴한 방보다 마루에서 먹기 일쑤였다. 전기가 들어오던 날, 밤새 잠 못 이루며 뒤척이다 어머니한테 꾸중 들었던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이 혼자뿐일까. 이게 40여년 전 우리네 모습이다. 전기의 소중함과 그 가치는 새삼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허나 요즘 폭염 중에도 서늘함을 느끼는 장소가 많다. 에너지원의 97%를 수입하는 우리는 세계 7대 석유소비국이며 4대 원유수입국이다. 지난해에는 에너지 수입에 667억달러나 썼다. 수출 1ㆍ2위 품목인 반도체(300억달러)와 자동차(295억달러)의 수출액을 합한 것보다 많다. 결국 주력상품을 다 팔아 에너지를 수입해오는 식이다. ‘에너지 전쟁시대’라는 지적을 한 귀로 흘려들어서는 안된다. 지구촌 곳곳에서 자원민족주의의 파고가 거세지는 것은 그만큼 에너지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제 전기를 ‘물 쓰듯’ 해서는 안되는 시대가 왔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지난 70년대 초 에너지 자립의 중요성을 인식, 원전 건설을 추진해 78년 4월 고리원자력1호기가 준공된 후 세계 6위의 원자력 발전국으로 도약했다. 원전 덕택에 세계에서 가장 값싸고 양질인 전기를 공급,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해왔다. 국민들은 아직도 ‘설마 전기가 어떻게 되랴’는 타성에 젖어 있다. 전등 하나 더 끄고, 지나친 냉방을 자제하는 등 작은 실천에서 시작하는 절약의 생활화가 아쉽다. 여름철 이상고온시 에어컨을 돌리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소 14기를 가동해야 할 정도다.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날 에어컨 가동으로 인한 전력 소비는 전체의 4분의1에 해당된다. 말 그대로 엄청난 전기를 쓰는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로서 해답은 분명하다. ‘절약이 곧 생산’임을 인식하고 에어컨 온도를 1도만 올린다면 84만㎾의 전기를 절약, 약 2조5,000억원의 건설비가 들어가는 원자력발전소 1기를 덜 짓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기 없이도 행복해질 수 있을까. 그것은 아마 50년대 농업국가로 돌아가야만 가능한 일일 것이다. 우리는 ‘전기 절약 캠페인’을 벌이며 전기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다양한 행사를 펼치고는 한다. 그러나 1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경우가 더 많다. 냉방 수요가 몰리는 여름철을 맞아 에어컨보다 선풍기를 사용해 전기 절약을 생활화했으면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