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고 소액신용대출 과열

대출심사·연체 관리체제 미비속 상품 봇물상호신용금고의 자금운용에 숨통을 틔워 준 소액 신용대출상품이 자칫 또 다른 부실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업계의 적극적 마케팅에 힘입어 고금리 소액신용대출상품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지만 대출심사와 연체관리 체제가 아직 완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가장 먼저 연60%인 사채대환상품 '체인지론'을 출시한 현대스위스금고는 대출기간인 6개월이 되는 7일이 돌아오자 95% 이상의 고객들이 대출기간을 다시 6개월 연장하는 등 상환시일을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스위스금고는 이에 따라 이자연체율을 20% 아래로 묶어두기 위해 12만5,000명의 대출고객을 관리하는 전담직원을 120명으로 대폭 늘이고 상품의 대출한도를 3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낮추는 등 잠재부실을 낮추기 위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고금리 소액대출상품을 내놓았던 선발 금고들도 최근 일제히 대출한도를 200만원 이하로 낮추고 금리를 60%로 상향고정 시키는 등 사후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지만 동일한 고객층을 같은 방법으로 공략하는 후발 금고들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져 신용불량자만 아니면 특별한 사전심사 없이 밀어내기식 대출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몇몇 지방금고의 경우 모집인으로 하여금 20~30%대 대출을 전면 정지하고 60% 대출만 모집하도록 해 심사에 대한 인식 없이 고금리장사만 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도 사고 있다. 이들이 빠른 속도로 '사채대환'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선발업체가 이미 훑고 간 시장에 남은 고객층인 만큼 부실가능성은 커지고 관리는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금고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업계가 고객의 신용도에 따라 다양한 대출상품을 제시하기 보다 고금리대출 확장에만 지나치게 몰두하고 있다"며 "당장의 고금리 수익을 생각하고 성급하게 뛰어들었다간 감당키 힘든 부담을 떠안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전문가들도 "충분한 사전준비 없이 일시적 고금리예금으로 자금을 끌어들여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소액대출을 풀어내다간 오히려 신용불량자를 양상하고 금고까지 덩달아 부실해질 위험이 있다"며 "내년 초 이자제한법에 따라 대형 대금업체들이 연60% 이하 소액대출시장에 진출할 경우 금고업계 역시 정확한 심사제도와 체계적인 연체관리를 통해 시장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연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