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책임론 불거져 지도부 '대혼란'

재·보선 참패 후폭풍…강대표 사과 이어 주요당직자 일괄 사표<br>강창희·전여옥 최고위원등 사의 표명<br>경선협상 난항…대선구도 악영향 우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26일 최고위원회의 에서 4·25 재보선 결과를 두고 지도부 총사퇴론 등 책임론이 제기되자 착잡한 표정을 짓고 있다.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이 26일 국회 기자회견장에서“대선 승리를 위해 백의종군하겠다”며 최고위원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오대근기자

한나라, 책임론 불거져 지도부 '대혼란' 재·보선 참패 후폭풍…최고위원 2명·주요 당직자들 일제히 사표일각선 강재섭대표·이재오 동반사퇴 거론경선 일정 차질땐 대선구도 악영향 우려 홍재원기자 jwhong@sed.co.kr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26일 최고위원회의 에서 4·25 재보선 결과를 두고 지도부 총사퇴론 등 책임론이 제기되자 착잡한 표정을 짓고 있다.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이 26일 국회 기자회견장에서“대선 승리를 위해 백의종군하겠다”며 최고위원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오대근기자 한나라당이 26일 4ㆍ25 재보선 참패에 따른 강한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강창희, 전여옥 등 최고위원들이 선거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으며 당내에서는 강재섭 대표와 이재오 최고위원의 동반사퇴까지 거론되는 등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이명박, 박근혜 등 한나라당 대선주자들도 이번 재보선 결과가 대선 구도에까지 일정정도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수습책 마련에 나서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양 주자는 이번 선거패배의 책임문제를 두고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대선 낙관론 급제동= 강재섭 대표와 김형오 원내대표는 이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불법 선거운동 의혹과 공천 잡음 등 선거전부터 불거져 나왔던 난맥상에 대한 책임론을 의식한 것이다. 한나라당내에서는 이번 재보선참패에 대해 이명박, 박근혜 양대주자들의 지지율 고공행진 등 '대선 낙관론'의 기초가 너무 부실했다는 반성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두 최고위원과 함께 황우여 사무총장과 김성조 전략기획본부장, 심재철 홍보기획본부장 등 주요 당직자들이 일제히 사표를 제출했다. 강최고위원은 이번 재보선의 최대 접전지인 대전 서을의 참패 책임을 사퇴이유로 밝혔다. 전여옥 최고위원도 "지도부로서 치열함이 부족했다"며 사의를 표명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강 대표가 직접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李ㆍ朴의 책임공방=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는 이날 일정을 비우면서 자세를 낮췄다. 당과 함께 재보선 패배의 의미를 무겁게 받아들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막상 캠프 내부 분위기는 다르다. 당의 유력주자로서 재보선 패배에 대한 책임 문제를 두고 서로를 견제했다. 이 전 시장측은 대전 서을 등 패배와 관련, "박근혜 전 대표의 대중성은 노무현 정권의 실정에 따른 반사 이익이었다는 점이 드러난 것 아니냐"며 은근히 이 전 시장의 경쟁력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반면 박 전 대표측은 "이 전 시장이 당내 경선을 의식, 사실상 대전 지원을 소홀히 했다"며 이 전 시장의 공동 책임론을 제기했다. 양측 모두 대중성과 당 기여도 등 서로의 민감한 부분을 거론하며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경선 일정합의도 빨간불= 재보선 참패로 한나라당 지도부가 혼란 상태에 빠지면서 경선 룰 관련 협상도 난항을 겪고 있다. 마지막 남은 쟁점인 여론조사 반영 비율 문제와 관련, 박 전 대표측은 "유효투표율과 연동해 폭을 줄여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이 전 시장측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정 안되면 기존의 당헌대로 6월에 경선을 치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도부 중재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재보선 책임론 등으로 지도부의 역할을 기대하는 어려운 실정이다. 입력시간 : 2007/04/26 18:2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