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상파 위성재전송 신경전 가열

수도권 지상파 방송의 위성 재전송(정규 방송을 위성 등 기타 채널로 방송하는 것)을 둘러싸고 한국디지털위성방송(스카이라이프)과 지역 방송사간의 신경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유료 채널인 위성방송이 공중파를 재전송 할 수 있게 된다면 송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케이블 채널을 시청하는 많은 인구 등 다양한 시청 층을 흡입이 설득력 있어 진다. 하지만 자체 프로그램을 다수 편성해 운영하는 지역 방송국이나 시청층 감소가 예상되는 지역 케이블 방송국(SO) 등으로서는 결코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방송위원회가 재전송을 포함한 채널정책 결정의 시한으로 11월을 공언하면서 양측이 선전전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스카이라이프는 최근 성명을 통해 '위성방송에 의한 MBC, SBS의 재전송은 반드시 실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 방송의 재전송 저지 움직임에 대해 '시청자의 편익확보에 기여해야 한다는 방송의 의무를 생각할 때 필요하며 자사의 이익 때문에 위성방송을 실패의 길로 내몬다면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 '최근 갤럽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의 대다수(84.5%)가 내년 3월 본방송을 시작하는 위성방송을 통해 KBS뿐 아니라 MBC SBS 시청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전송 필요성이 입증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반해 지역방송협의회측은 별도의 성명을 통해 '수도권 지상파 방송의 위성재전송은 지방화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무료인 지상파 방송을 유료방송인 위성방송에 끼워서 팔려하고, 공익을 추구해야 할 지상파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하려 한다'고 반박했다. 또한 스카이라이프가 의뢰한 갤럽 여론조사와 관련 '수도권 방송의 위성동시 재전송이 아니면 무조건 지상파를 수신할 수 없다는 식으로 사실을 왜곡한채 여론조작을 유도했다'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방송위원회는 방송환경 변화와 외국 사례 및 국내 방송계 현실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전체 위원 워크숍 등을 거쳐 11월께 관련 정책을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어서 위성방송과 지역방송은 해결점을 찾지 못한채 당분간 혼전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김희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