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파트시장 침체에도 호재있는 지역은 올라

성동·영등포·강서·구로 평당가 순위↑…가장 비싼 동네는 대치동 2천505만원

지난 1년간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시장침체 속에서도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차별적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가 서울시 25개 구별로 일반아파트(재건축 제외)평당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월 현재 강남구가 2천8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초구 1천636만원, 송파구 1천534만원, 용산구 1천464만원, 양천구 1천337만원 순으로높은 평당가를 기록했다. 특히 구별 평당가 순위를 보면 개발 호재가 뚜렷한 성동, 영등포, 강서, 구로지역이 작년 순위에서 각각 한계단씩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뚝섬 및 왕십리 뉴타운 개발과 청계천 복원 등 각종 개발 호재를 등에 업은 성동구(평당가 1천60만원)는 평당 55만원이 올라 9위를 차지했고 9호선 개통의 호재로교통여건 개선이 기대되는 강서구(848만원)는 관악구를 제치고 14위로 올라섰다. 구로구(776만원)는 디지털산업단지 조성과 함께 구로동과 가리봉동 일대 뉴타운개발 등의 호재가 맞물리면서 새로운 주거지 조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12만원이올라 18위로 상승했다. 한편 작년 같은 기간 평당가 대비 상승률은 용산구가 9.08%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성동구(5.47%), 영등포구(4.32%)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가운데 미군기지 이전과 용산고속철도 역사 등 호재를 지닌 용산구는 구별순위(4위)에 변동은 없었지만 작년과 대비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동별로는 강남구의 대치동이 평당 2천505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송파구 오륜동이평당 2천256만원, 용산구 동부이촌동이 평당 1천958만원, 서초구 서초동이 평당 1천809만원 등의 순으로 높은 평당가를 나타내 각 구의 `대표' 동으로 자리잡았다.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