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농진청, 꿀벌 장내 미생물 실체 밝혀내

유산균, 프로테오박테리아 등 30여 종 공생

꿀벌(토종벌, 서양벌)의 장내에 30여종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9일 꿀벌(토종벌 20마리, 서양벌 20마리)의 장내 미생물을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법인 파이로시퀀싱(Pyrosequencing) 기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36종의 미생물이 공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꿀벌을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사양관리법이나 질병 예방, 유용 미생물제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꿀벌 장내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유산균 10종, 프로테오박테리아 24종 등 모두 36종이다. 이들 미생물 중 유산균이 차지하는 비율은 17∼84 %로, 꿀벌 장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로 나타났다.

토종벌에서는 유산균 7종, 프로테오박테리아 14종(대장균군 3종 포함) 등이 발견됐으며, 유산균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61 %에 달했다. 서양벌에서는 유산균 8종, 프로테오박테리아 13종(대장균군 1종 포함) 등이 발견됐으며, 유산균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59 %에 달했다. 유용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은 서양벌에서만 주로 발견됐다. 이 유산균은 항생물질 생산, 면역시스템 강화, 항암 작용, 비타민 생산 등에 관여한다.

농진청 농업미생물과 원항연 박사는 “꿀벌 장내에서 분리한 유산균들에 대한 특성조사가 끝나면 꿀벌 사육에 사용되는 항생제 대체제나 면역 증강을 위한 유용 미생물제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