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구의 평균부채가 5,000만원을 넘고 빚을 진 가구의 평균 부채액은 8,000만원을 웃돌았다. 저소득층과 자영업자 재무건전성은 전년도보다 다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평균 부채액은 지난해 2월 말보다 12.7% 늘어난 5,205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금융부채는 14.2% 늘어난 3,597만원, 임대보증금은 9.5% 증가한 1,608만원으로 전체부채에서 각각 69.1%와 30.9%를 차지했다. 금융부채 중에서 담보대출은 54.8%인 2,850만원, 신용대출은 12.0%인 625만원으로 나타났다.
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전년도보다 3.0%포인트 늘어난 62.8%였으며, 이들의 평균 부채는 7.3% 증가한 8,289만원이었다. 금융부채 중 담보대출은 35.5%, 신용대출은 23.2%의 가구가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 가구의 담보대출 평균보유액은 4.6% 늘어난 8,24만원, 신용대출 평균보유액은 13.9% 증가한 2,690만원이었다.
가구당 평균자산은 지난해 2월 말보다 7.5% 늘어난 2억9,765만원으로, 이 가운데 금융자산이 23.2%인 6,903만원, 부동산이 73.6%인 2억1,907만원으로 나타났다.
총 자산 가운데 금융자산은 작년보다 17.3% 늘었으나 부동산은 4.2% 증가에 그쳤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지난해 2월말보다 6.5% 늘어난 2억4,560만원이었으며 중위가구는 11.1% 증가한 1억3,26만원이었다.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한 상태를 나타내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19로 지난해 0.628보다 소폭 하락했으며, 상위 10% 계층의 순자산 점유율은 46.1%로 작년 2월말의 47.2%보다 떨어졌다.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은 17.5%로 지난해 2월 말보다 0.8%포인트 올랐으며, 저축액이 전년보다 21.2% 늘어남에 따라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4.4%포인트 하락한 71.6%로 나타났다.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18.3%로 2.2%포인트 상승했고,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3%포인트 늘어난 109.6%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전반적인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가처분소득 대비 상환능력이 다소 악화된 측면이 있으며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가구가 늘어 소비제약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부채보유가구 비중과 금액이 높았다. 부채 점유율은 하위 20%인 1분위가 5.5%였으며, 2분위 10.6%, 3분위 14.8%, 4분위 22.9%였고, 상위 20%인 5분위는 46.2%였다.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소득 1분위의 경우 201.7%로 나타나 전년도보다 58.5%포인트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인 5분위는 103.2%였다.
재정부는 “고소득층인 4~5분위가 부채의 대부분인 69.1%를 보유하는 등 전반적인 가계부채 상환능력은 여전히 양호한 모습”이라며 “소득 1분위의 경우 은퇴가구가 많은 특성 등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중이 타 계층보다 높고 전년보다도 악화했다”고 설명했다.
직업 특성상 사업자금 대출이 많은 자영업자의 부채보유가구 비율은 74.2%였으며, 자영업자의 총부채는 8,455만원으로 전년도보다 18.6% 늘었다. 자영업자의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59.2%로 상용직(78.9%)의 두 배가 넘었다.
재정부는 “저소득층ㆍ자영업자의 재무건전성이 다소 악화돼 서민금융 지원과 자영업자 경쟁력 제고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며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가계부채가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