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韓 물가상승률 2012년부터 선진국 최고"

내년부터 성장률 4%, 저성장 시대 돌입<br>2015년에도 1인당 GDP 3만 달러 힘들어


우리나라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012년부터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내년부터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4.5%)보다 낮은 4%대를 기록, 본격적인 저성장 시대로 접어들며 앞으로 5년 뒤에도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18일 국제통화기금(IMF)의 ‘2010∼2015년 장기전망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3.1%로 33개 선진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데 이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0%를 기록하면서 최고의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IMF가 조사한 33개 선진국의 향후 평균 물가 상승률(1% 중반∼2% 초 중반 보다 1~2%포인트 높아 중장기 경제운용에서 물가가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올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2만164달러로 2만 달러를 넘어서겠지만 5년 뒤인 2015년에 2만7,060달러를 기록, 3만 달러 달성에는 실패할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저성장과 환율 등의 영향으로 내년 2만1,529달러, 2012년 2만2,855달러, 2013년 2만4,245달러, 2014년 2만5,832달러로 소폭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일본은 올해 1인당 GDP가 3만9,740달러에서 2015년에는 5만1,662달러로 5만 달러 고지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됐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 순위는 올해 33개 선진국 가운데 대만, 체코 등을 제치고 29위에 오른 후 5년 뒤에도 29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상수지는 올해 260억달러, 내년 306억달러, 2015년 281억달러의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올해 3.1%, 내년 3.4%까지 오른 뒤 2015년까지 매년 3.0%를 상회하고, 인구는 2015년에 4,97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