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ISTI 시맨틱 웹 기술, 글로벌 성공사례로 공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첨단 시맨틱 웹 기술이 적용된 ‘국가표준정보 통합연계검색 서비스’가 W3C의 적용사례로 공식 등재됐다고 15일 밝혔다. W3C는 인터넷에서 활용되는 모든 기술을 표준화하는 세계웹표준화기구로, W3C 적용사례로 등재된다는 것은 곧 세계적인 웹서비스 성공사례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맨틱 웹이란 컴퓨터가 정보의 의미를 지능적으로 이해하고 정보들 간의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첨단 웹을 뜻한다. KISTI는 국내․외 특허 80여건을 출원․등록하고 15건의 기술이전을 성사시킨 독보적인 시맨틱 웹 기술개발 기관이다. KISTI의 국가표준정보 통합연계검색 서비스는 정부의 기술규제 정보와 표준전문가 7천여 명, 표준화활동내용 163천여 건 등 기술표준과 관련된 모든 정보들의 상호관계를 역동적인 애니메이션으로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성원경 정보기술연구실장은 “국가표준정보 통합연계검색 서비스는 각 정보들간의 관계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더 이상 제품생산·수출, 연구, 생활표준을 파악하기 위해 개별 홈페이지를 일일이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