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1월 25일] 미국의 9ㆍ11과 한국의 11ㆍ23

2001년 9월11일 아침 미국 뉴욕. 알카에다의 비행기 테러 공격으로 세계무역센터가 무너졌다. 즉각 야당이던 미국 민주당측은 “여야가 따로 없다”며 정부와 여야간 공조체제를 구축했다. 당시 뉴욕타임스의 1면 톱 제목이 ‘미국이 공격당했다’였던 것처럼 야당도 당장 책임 규명보다 국익을 위해 힘을 보태준 것이다. 미국인들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조기를 내거는 등 똘똘 뭉쳤다. 2010년 11월23일 오후 한국 연평도. 북한의 갑작스런 대포 공격으로 민군의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한국전쟁 이후 60년만에 처음으로 북한이 남측 민군 지역에 포를 쏘아대고 우리도 맞대응한 대규모 국지전이 벌어진 것이다. 국민들은 불안에 떨었고, 남북화해협력 괘도로의 암중모색 국면도 재차 공꽁 얼어붙었다. 이후 야당이 ‘안보에 여야가 없다’며 장외투쟁을 멈추긴 했으나 정치권의 모습은 초당적 대처와는 거리가 있었다. 우선 24일 국회의 대북규탄결의안 처리를 놓고 “규탄과 재발방지 촉구해 오늘 처리(한나라당 등)“남북 정부에 평화정착 노력 촉구까지 담아 내일 처리(민주당 등)”로 엇갈려 25일로 미뤄졌다. 이날 각각 연평도를 방문한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와 손학규 민주당 대표도 일단은 초당적 대처에 주력하거나 현지에 가더라도 동행했으면 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준전시 상태를 지휘해야 할 국방ㆍ외교부ㆍ통일부 장관을 하루 종일 국회에 불러 청와대와 군의 초기 대응 미숙 등 책임논란에 집중한 것도 생각해볼 문제다. 이밖에 희생자에 대한 묵념을 제안하거나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하는 의원을 찾을 수 없었던 것도 유감이다. 지난 3월 천안함사건이 났을 때 우리는 정치권의 대립으로 인해 이후 많은 대가를 치러야 했다. 그렇다고 시시비비를 가려야 할 정치권만 탓하는 것은 무리다. 군은 천안함 때처럼 사전에 도발징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큰 희생과 불신을 키웠다. 청와대와 정부도 아직까지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대외정책 실패를 타산지석으로 삼지 못하는 느낌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