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소원, 제2 금감원 되나

금융당국 매머드조직 추진<br>'또 하나의 시어머니' 우려

금융당국이 금융감독원에서 분리할 예정인 금융소비자보호원을 금감원에 버금가는 매머드 조직으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히 소비자 보호업무뿐만 아니라 주가조작 전담부서 등을 새로 만들고 여기에 금감원에 있는 감독국까지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는 금소원이 규모와 권한에서 '제2의 금융감독원'이 될 수 있음을 예고하는 것으로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또 하나의 '호된 시어머니'가 탄생하는 것이어서 부작용이 우려된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19일 "금융회사 감독 역시 넓게 보면 소비자 보호 업무에 해당한다"고 전제한 뒤 "일상적인 검사업무 외에 주가조작 범죄, 은행ㆍ보험ㆍ카드 등 금융회사의 불합리한 영업 등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는 분야가 포함될 수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소비자보호처 부서만 옮긴다면 금감원의 남는 비율과 나가는 비율은 8대2겠지만 다른 부서까지 간다면 6대4가 될 것"이라면서 "결국 엇비슷한 규모의 감독기관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소원의 성격은 금감원과 마찬가지로 반민반관의 무자본 특수법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처럼 민간이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독립해 공공사무를 담당하는 법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감원 직원의 상당수가 금융소보원에 가게 되므로 민간인이 이들의 처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때문에 금감원은 겉으로는 금소원 분리를 반대하지만 인사가 적체된 금감원 일각에서는 분리가 확정돼도 나쁠 게 없다는 분위기가 있는 게 사실이다. 재원은 금감원처럼 금융회사로부터 예산지원을 받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기구는 지난 3월 여야 합의로 오는 6월까지 금융위원회가 방안을 제출하기로 한 상태다. 앞서 연초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금소원 설립방안을 논의했으나 분리 여부에 따른 찬반이 맞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