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삼성화재 "車보험 정상화 매진,온라인 진출 안해"

황태선 삼성화재[000810] 사장은 8일 "수익성이담보되지 않는 한 온라인 자동차보험 시장 진출은 검토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황 사장은 이날 서울 태평로클럽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갖고 "온라인 자동차보험사 등장 이후 가격 경쟁 등으로 자동차보험이 큰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온라인 자동차보험 대신 컨설팅형 상품 개발 등을 통해 대면 판매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손해보험사 가운데 삼성화재만 온라인 자동차보험 영업을 하지 않고있다. 황 사장은 "올해를 수익성과 현장 중시, 미래준비 경영을 통한 `변화와 혁신의해'로 정하고 연간 700억~800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는 자동차보험 사업의 조기 정상화에 매진하겠다"며 "이를 위해 언더라이팅(보험 가입 심사)과 보상 서비스를 강화하고 자동차보험 사업비를 효율화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시장 점유율이 예전 30% 수준에서 26%대 후반으로떨어졌는데 이는 온라인 시장에 진출하지 않고 언더라이팅을 까다롭게 하는 등 수익 중심 구조로 바꿨기 때문"이라며 "점유율 27%를 마지노선으로 융통성있는 영업전략을 펼치겠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김태환 삼성화재 상무는 "손해율(보험료 수입 대비 보험금 지급 비율)이 86.7%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타사 자동차보험 고객의 계약은 받지 않고타사 장기 무사고 운전자의 가입도 제한하고 있다"며 "그러나 기존 고객은 모두 받고 있다"고 말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급등하자 손보사들이 인수지침을 강화하며 보험료를 적게 내는 장기 무사고 운전자들의 보험 인수를 꺼려 논란을 빚기도 했다. 황 사장은 또 "삼성화재 부설 교통안전문화연구소의 기능을 강화하고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선진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2006 선진교통문화 탐사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황 사장은 "미래 성장 동력인 장기보험의 경쟁력 강화, 일반보험의 손익 최적화,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자산운용 역량을 배가할 것"이라며 "환경 변화에 즉각대응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경영 시스템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원한 1등은 없으며 영원한 1등을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준비와 노력이필요하다"면서 "윤리 경영과 고객 만족,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존경받는 기업이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