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돗물 누수로 연간 5천억원 사라져"

수돗물 누수로 인해 연간 5천억원이 넘는 돈이사라지는 것으로 파악됐다.또 한국의 수돗물 누수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최고 3배 이상으로 밝혀져 물 절약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더욱 높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환경부는 `세계 물의 날'(22일)을 앞두고 작성한 `물 절약 종합대책' 보고서를통해 한국의 수돗물 누수량은 연간 10억T 규모로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5천억원이넘는다고 6일 밝혔다. 누수율 역시 18%로 세계 최고수준으로 밝혀졌다. 특히 누수량 가운데 절반 이상(9.2%)이 불량계량기 사용에 따른 계량기 불감수량(不感水量)으로 지난 98년의 경우 5억4천만T(2천700억원)의 수돗물이 이를 통해낭비됐다. OECD 회원국들의 누수율은 독일 5.0%, 스위스 7.9%, 일본 8.9% 등 대부분 10%이하였으나 한국은 18%로 독일의 3.6배나 됐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우선 노후수도관에 대한 실태파악에 나서는 한편 2천374억원을 투자해 누수현상이 심한 노후수도관 2천585㎞를 올해 안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2011년까지 모두 2조9천79억원을 들여 노후관 3만3천230㎞를 교체하고 같은 기간 취.정수시설 1천681개를 건설해 물자원 관리의 효율을 높이기로 했다. 환경부는 또 ▲계량기 전수조사 및 불량 또는 부적정 계량기의 연차별 교체 ▲상수도관망 전산관리 체계 구축 ▲옥내 급수시설에 대한 누수탐사 및 응급보수 서비스 실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의 심재곤 상하수도국장은 "한국이 빠르면 2006년부터 물 부족국가군에포함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현실을 고려할 때 수돗물의 누수방지는 시급한 과제"라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물 절약에 대한 일반의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