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진 정통 '못 말리는 발언' 파문 확산

"정부가 KT주식 재매입 원한다" 발언에 곤욕

차기 서울시장 후보 등으로 거론되는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이 최근 "정부가 KT주식의 재매입을 원한다"는 발언을 했다가 곤욕을 치르고 있다. 진 장관의 `문제 발언'이 외국 통신사를 통해 전세계로 타전되면서 KT는 물론 국내외 증권가에도 적잖은 파장을 미치는 등 강력한 '후폭풍'을 불러일으키고 있기때문이다. 진 장관은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정보통신전시회 `SEK 2005' 행사현장을 방문, 외신기자단과 오찬을 함께 하는 자리에서 지난 2002년 민영화한 KT주식을 되사고 싶다는 내용의 발언을 했다. 진 장관은 이 자리에서 "KT를 다시 공기업화할 정도의 많은 주식을 사들이는 것은 원치않는다"는 말까지 덧붙여 내부적으로 상당부분 검토가 이뤄지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마저 제기했다. 하지만 문제의 발언은 진 장관이 수일전 정통부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꺼냈던 말로 본인은 물론 정통부 공보관까지 나서 "현실성이 없다"며 기사화를 막았고,기자들도 정통부가 지분 매입에 대해 책임지고 발언할 수 있는 부처가 아니라는 점등 여러 정황을 감안해 기사화하지 않았다. 하지만 진 장관의 문제 발언은 정통부 기자단이 아닌 외신기자들과의 오찬석상에서 똑같이 되풀이됐다. 외신기자들만을 상대로 한 이번 간담회에서는 "공기업 수준은 아니지만 일부 주식을 매입하기를 원한다"는 그럴 듯한 부분까지 곁들여지면서 발언에 무게마저 실렸다. 진 장관의 `휘발성' 발언이 나오자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이를 즉각 전세계로 타전하고 당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국내 언론들은 이를 받아 처리하는 웃지 못할 장면이 연출됐다. 문제 발언의 여진은 다음날 증권가로 확산, 일부 유명 외국증권사는 정부의 KT지분 매입을 전제로 KT의 주가를 예측하는 전망을 내놓는 등 `해프닝'이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진 장관의 발언 파문은 정통부 공보관실측이 심야에 해명자료를 배포하며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지만 사그러들기는 커녕 불씨가 통상문제로 옮아붙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일각에서는 정통부가 최근 미국과 유럽연합(EU), 캐나다 등을 상대로 세계무역기구(WHO) 정부조달협정(GPA) 적용대상에서 KT를 제외시켜줄 것을 요구하다 겨우 받아들여졌지만 언젠가는 다시 `압박카드'로 꺼내들지 모른다는 관측마저 제기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권용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