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언론, '애플 편들기' 논란 예상…"자국기업 편애"

NYT "오바마가 삼성전자에 또 한 방 먹였다"…애플 주가에 큰 영향 없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삼성전자 구형 스마트폰 제품의 미국 내 수입금지를 '승인'한 것에 대해 현지 언론은 '애플 편들기' 논란을 예상했다.

경제전문지 비즈니스위크는 이날 "백악관은 이번 결정으로 애플에 줬던 혜택을 삼성에는 주지 못한 셈이 됐다"면서 "한국은 이를 미국 정부가 '편들기'를 한다는 또다른 증거로 인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8월 애플 제품에 대한 수입·판매를 금지한 국제무역위원회(ITC)의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했으나 이번에는 비슷한 사례임에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 논란의 소지를 만들었다고 꼬집은 것이다.

비즈니스위크는 또 "이번 조치로 인한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서 "삼성은 법원에 항고하는 방식으로 수입금지 조치를 지연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인터넷판에서 "오바마 행정부는 이번에도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면서 "수입금지 조치를 받아들임으로써 삼성전자에 또다시 한 방을 먹인 셈이 됐다"고 논평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오바마 행정부가 지난달 거부권을 행사했을 때 소비자 피해를 언급했으나 이런 이유가 이번 사례에는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이른바 '상용특허'와 '표준특허'의 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결정이 미국 내 삼성 제품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는 모르지만 삼성 측으로서는 실망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결정이 한국 기업보다 미국 기업을 편애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에드 블랙 미국 컴퓨터통신산업협회(CCIA) 회장의 발언을 전했다.

에드 블랙 회장은 앞서 미국 정부가 ITC의 애플 제품 수입금지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에 대해서는 "정치적 압력과 편애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 비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정부가 애플 제품 수입금지는 전례 없이 거부하고 삼성전자는 수입금지 조치를 거부하지 않음으로써 두 기업간 공평한 대우를 바라는 삼성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어 "삼성전자는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ITC가 의도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도 해당 (수입금지) 명령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우려했다"고 덧붙였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정부의 이번 결정으로 애플이 유리해졌지만 애플 주가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고 언급했다.

정보기술(IT) 업계 전문지인 '컴퓨터월드'는 "삼성이 오바마 행정부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고, 지디넷은 "미국, 애플의 편을 들다. 일부 삼성 제품 수입금지"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러나 이날 마이클 프로먼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성명을 통해 밝힌 백악관 결정에 대해 미국의 대다수 언론은 발표 내용을 위주로 담담하게 보도하면서 삼성 측의 반응과 대응 전망 등을 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