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빅 데이터 시대’ 성공전략


지난해 11월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대통령 보고에서 '빅 데이터' 라는 화두가 던져졌다. 이어 대통령도 "빅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해나가야 다른 나라에 앞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도 "모든 미국 연방정부기관은 빅 데이터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하는 등 세계 각국이 빅 데이터 시대를 선언하고 이에 맞는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빅 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폭증에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 확산과 페이스북ㆍ트위터ㆍ미투데이 등 소셜미디어의 활용 증가가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정보 간의 융ㆍ복합화와 매쉬업 서비스가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정보 내 데이터의 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 데이터 중 비정형화된 데이터들이 85%를 차지해 기존 데이터베이스(DB) 기술로는 감당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비정형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DB기업도 글로벌 기업과 마찬가지로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는 말이다.

관련기사



미국 오바마 대통령도 올해 대선을 앞두고 뉴미디어를 통해 살아있는 민심을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팀'을 꾸려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도 선거를 앞두고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선보였다. 와이즈넛, 야인소프트 등 국내 DB검색ㆍ분석 기업들은 전략적 협력관계를 체결해 빅데이터에서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해 서비스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 중이다.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우리 DB기업들은 새로운 국면을 마주하고 있다. 다른 국가보다 DB검색ㆍ분석기술 분야에 앞서 나가려면 DB 산ㆍ학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상생협력이 필요하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균형을 이루었을 때 DB산업은 새로운 국가성장산업으로 우뚝 서는 동시에 다른 국가와 견주어도 결코 뒤지지 않는 경쟁력을 갖춘 기반산업이 될 것이다.

지난달 데이터베이스진흥원이 개최한 빅데이터 DB 검색ㆍ분석 세미나에서 기조 강연을 해주신 투이컨설팅 김인현 대표는 "빅데이터는 개인화된 쌍방향 대화를 통해 고객 체험을 최대화할 수 있는 수단이고, 서비스를 체험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강력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점에서 '빅데이터'를 다시 한 번 뛰어놀 수 있는 놀이터로, 도전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이 정보기술(IT) 강국인 대한민국의 스마트한 대처 방안이 아닐까 싶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