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스마트폰 악성코드 포착…보안 비상

국내 윈도기반 제품서…민관합동 긴급대응 돌입


스마트폰 악성코드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최근 국내활동이 포착된 악성코드는 윈도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바이러스로 확인됐지만 안드로이드 기반 등의 다른 스마트폰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스마트폰 보안에 비상이 걸렸다. 22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안철수연구소 등에 따르면 국내에서 스마트폰 악성코드가 처음 발견돼 스마트폰 민관합동대응반이 긴급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방통위와 이동통신사에 지난 13일부터 국내 윈도모바일용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총 155건의 악성코드 신고가 접수됐다. 이 악성코드는 윈도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트레드다이얼'로서 무단으로 국제전화를 거는 방식이다. 트레드다이얼은 모바일게임 '3D 안티 테러리스트 액션'과 동영상 관련 유틸리티 '코덱팩'에 포함돼 배포됐으며 총 6개 국제전화번호로 통화가 시도됐다. 하지만 해당 스마트폰은 출시 때부터 국제전화 발신금지로 설정됐거나 해당 번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휴대폰 요금이 청구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국내에 보급된 윈도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은 옴니아 시리즈 등 약 70만대이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번에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실제 피해사례가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안드로이드폰은 개방형 OS인 만큼 해커들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시행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상무는 "앞으로 이번과 유사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에는 실행 전에 악성코드를 검사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