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나라회’ 공식출범… 세 결집

◎신한국 민정계… “경선과정 정발협과 적극 대화”/공동후보 추대 논의후 결렬땐 ‘독자’ 불가피할듯신한국당내 민정계 모임인 「나라회」가 17일 독자세력으로 공식 출범, 당내 최대 계파인 정치발전협의회와 함께 앞으로 경선과정에서 누구를 지지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나라회는 우선 민주계 중심의 정발협에 대응하는 결사체로서 의미가 크다. 정발협이 독자 후보추대 등을 통해 민주계 중심의 정권재창출을 노리자 소외되고 있는 민정계의 목소리를 결집, 경선과정에서 지분을 최대한 확보하겠다는 의도인 것이다. 나라회는 이날 상오 시내 중국음식점 하림각에서 결성대회를 갖고 하부 조직구성 및 향후 운영방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14인 운영위원회」에 위임했다. 운영위원은 김기배(서울) 김진재(부산) 강재섭(대구) 심정구 서정화(인천) 이환의 전석홍(광주·전남북) 남재두(대전·충남북) 이해귀 이웅희(경기) 함종한(강원) 이상득(경북) 김태호(경남) 양정규 의원(제주) 등이다. 나라회는 그러나 모임의 성격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는데 대해서는 오히려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자칫하면 당내 주류세력인 민주계로부터 받을 집중공격을 피해가면서도 자신들의 목소리를 높이겠다는 이중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날 나라회 발족에 참석한 한 민정계중진이 『우리를 당내 당으로 보지 말아 달라』며 『경선과정에서 정발협과 세대결이 증폭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화에 나서겠다』고 언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나라회는 정발협과의 협상통로를 계속 열어놓고 있다. 모임의 성격상 정발협의 견제에서 출발했지만 정발협과의 협상을 배제한 채 독자적인 움직임에는 나서지 않겠다는 것이다. 즉 정권재창출 과정에서 충분한 지분을 확보하면서도 최대세력인 민주계의 신경을 건드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태생적인 속성상 나라회의 향후 움직임은 정발협의 움직임과 불가분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것은 물론 독자후보 추대 문제다. 정발협이 경선등록이 끝나는 다음달 3, 4일께 독자후보를 추대할 것이라고 발표하고 나선데 대한 위기감을 나라회측 인사들은 부인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나라회측은 먼저 정발협과 공동으로 후보추대문제를 논의하고 여의치 않을 경우 독자후보 옹립에 나선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독자후보추대에 양대 계파가 극적으로 합의에 도달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나라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김윤환 고문 등이 이미 이회창 대표 지지를 은연중에 밝히고 있고 친 이대표성향을 지닌 인물들이 상당수 포진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이대표가 아니더라도 속성상 이한동 고문 등 민정계 인사쪽으로 상당히 기울고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기 때문이다. 이에대해 정발협은 이회창 대표 카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부인하지는 않고 있지만 이날 간접적으로 이대표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고 일차적으로 박찬종 고문, 김덕룡 의원, 이인제 경기지사 등 민주계를 기반으로 하는 주자들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신한국당내 민주계와 민정계를 대표하는 정발협과 나라회가 이번 경선과정에서 후보지지 여부에 따라 자칫하면 별거, 대립상태로 돌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최악의 경우 경선에서 패배하는 쪽이 대선과정에서 돌출, 신당세력으로 변신할 수 있다는 게 정가의 또다른 전망이다.<온종훈 기자>

관련기사



온종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