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검찰 "맞춤형줄기세포 美 밀반출 수사"

"김선종 연구원이 섀튼 교수에 넘겼을 가능성 있다"

황우석 서울대 교수 연구팀의 논문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환자맞춤형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또는 그 이전 단계의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가 미국으로 몰래 빼돌려졌다는 정황을 잡고 진위를 수사 중인 것으로 22일 알려졌다고 동아일보가 23일자로 보도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김선종(34) 연구원 등 핵심 관련자 33명이 주고받은 이메일 5만여 통과 컴퓨터 파일을 분석한 결과 환자맞춤형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등이 미국으로 밀반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검찰의 수사는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발표와 달리 환자맞춤형 줄기세포나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가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검찰은 김 연구원 등이 미국 유학을 대가로 환자맞춤형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등을 빼돌려 섀튼 교수에게 제공했는지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피츠버그대가 아닌 미국의 다른 대학으로 유학을 가려다 실패한 김 연구원과 박을순 연구원 등을 피츠버그대 제럴드 섀튼 교수가 받아 준 과정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실험용 난자를 구하기 어려운 미국의 입장에서는 환자맞춤형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자체가 줄기세포의 상용화를 위해 매우 유용한 재료가 될 수 있다"며 "섀튼 교수가 김 연구원 등을 받아 준 배경에 줄기세포의 밀반출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의심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검찰은 환자맞춤형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등이 존재했거나 현재 남아 있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