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끄러운 당산철교(사설)

말썽많던 당산철교가 이달 31일부터 헐린다. 언제 무너질지 몰라 전동차도 시속 30㎞로 벌벌 떨며 지나는 다리이므로 시민의 안전과 생명보호를 위해 철거키로 한 것은 타당성이 있다.지은지 12년밖에 안된 당산철교는 무너진 성수대교, 삼풍백화점과 함께 부실건설의 부끄러운 상징이다. 재시공에 들어가는 돈이 7백60억원으로 추산돼 엄청난 재원의 낭비도 피할 수 없다. 당산철교의 부실은 92년 정기점검때 세로보의 균열이 발견되면서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후 95년 11월까지 무려 4천6백6개소에 대한 보수공사가 이뤄져 그야말로 누더기다리가 돼버렸다. 작년말 이후 2백46곳의 세로보중 3백33곳에 추가 균열이 발생했고 지금도 이틀에 한곳씩 추가균열이 생기고 있다. 겉으로는 멀쩡한 것 같던 교각마저 부실해 완전히 헐어내야 할 형편이다. 교각부분의 부실책임을 규명하기 위해 법원은 이 부분의 철거를 내년 3월 이후로 연기해줄 것을 요청한 상태다. 어떻게 이런 다리가 세워질 수 있는 것인지 시민들은 분노를 금치 못한다. 서울시는 재시공비를 원래의 설계회사인 삼우기술단, 시공사인 남광토건, 한국철도기술협력단 등에 징구할 목적으로 법원에 증거보전조치를 취했으나 받아낼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중에서 그나마 배상능력이 있다고 보이는 남광토건은 부도로 주인이 바뀐 상태다. 결국 시민의 혈세를 부실시공에 따른 이중공사로 낭비하게 된 셈이다. 서울시가 단절구간의 무료버스운행등 이런저런 철거 뒤의 대비책을 세웠다고는 하나 하루 30만명의 발길이 앞으로 재개통시까지 3년간 끊겼으니 혼란과 불편은 이루 말할 길이 없다. 서울시는 부실의 책임을 민간회사들에만 떠넘겼는데 공사 감리감독자로서의 책임을 면할 수는 없다. 당시 공사의 감리감독 책임을 맡았던 공무원도 가려내 배상책임을 물게 해야 한다. 부실공사에 대한 책임은 책임자의 사후까지도 지운다는 본보기를 보여야 한다. 그래서 이 땅에 부실공사가 더이상 발붙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야말로 엄청난 혈세낭비와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시민들에게 서울시가 할 수 있는 최소의 보상일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