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中企 상생대책' 쏟아진다


LG '동반성장 5대 과제' 제시..삼성 내주 발표 예정

주요 대기업들이 고심하며 마련해온 상생방안의 윤곽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지금까지 공개된 상생방안은 대체로 2ㆍ3차 협력사에 대한 배려와 이익 배분 강화 및 협력사의 성장 지원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협력업체 자금난 덜어 준다 = LG그룹은 12일 중소 협력사와의 동반 성장을 위한 5대 전략과제를 제시하고 협력업체와의 공존 경영을 선포했다. 세부 지원책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협력업체들에 대한 대규모 금융지원이다. 은행과 연계하지 않고 직접 대출해 주는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등의 방법으로 협력사에 연간 7,4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 동안 대기업의 상생 대책에서 소외돼 있던 2ㆍ3차 협력사에 대한 지원이 강화된 점도 주목할만하다. LG가 추진하기로 한 중소 협력사 자금지원 방안에는 1차 협력사 뿐 아니라 2ㆍ3차 협력사로 금융지원 범위를 확대한다는 점이 강조돼 있다. LG는 2ㆍ3차 협력사들도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는 연간 2,500억원 규모의 ‘LG 상생협력펀드’를 다음 달에 신설할 예정이다.


현대ㆍ기아차그룹도 2ㆍ3차 협력사에 대한 획기적인 지원의지를 표명했다. 현대ㆍ기아차는 지난 10일 주요 원자재인 철판을 일괄 구입해 협력사에 구매가격으로 공급하는 ‘사급제도’의 대상을 기존 1차 협력사에서 2ㆍ3차 협력사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성과도 대중소가 공유한다 = 성과를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가 공유하는 것도 눈에 띈다. 대표적인 사례는 포스코다. 포스코는 원가절감액을 협력사와 나누는 ‘베네핏 셰어링(Benefit Sharingㆍ수익공유)’ 제도를 전체 협력업체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베네핏 셰어링은 협력업체가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원가를 절감한 경우 그 성과를 협력사와 나눠 갖는 것으로, 포스코는 2004년 1차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이 제도를 도입했다.

협력업체의 공동 사업 추진도 눈여겨 볼만하다. 현대ㆍ기아차는 이와 관련,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자립형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비 등 직접 지원금 2,300여억원과 기금 출연을 통한 간접지원금 9,200여억원 등 총 1조1,544억원의 지원기금을 조성키로 했다.

LG는 협력사와 손잡고 녹색 신사업을 공동 발굴할 계획이다. 태양전지와 LED, 전기차 배터리 등 녹색 신사업 분야에서 중소기업에 연구개발 용역을 발주하면서 2011년부터 5년간 1천억원을 연구개발에 활용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삼성그룹 등 다른 그룹들의 상생협력 방안도 속속 나올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은 내주 중 새로운 상생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여기에는 1차 협력 업체의 범위를 대폭 늘리고, 원자재 가격의 납품가 연동제 도입 방안 등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SK, 롯데, GS, 금호아시아나, 한진 등 다른 대기업 그룹들도 그동안 추진해온 상생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방안을 잇따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