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열린우리+민주 합당론 다시 거론

말만 무성, 가능성 낮아… 깊은 감정의 골이 걸림돌

문희상 당 의장 체제 출범 이후 불거지고 있는 민주당과 합당론, 그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말만 무성할 뿐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는 편이다. 넘어야 할 감정의 골이 깊기 때문이다. 합당론이 고개를 든 이유는 세가지. 우선 문 신임의장의 모토가 ‘대통합’이다. 새로운 선출직 지도부 5명 중 4명이 민주당 출신이라는 점도 재통합론의 배경이다. 여기에 2위로 상임중앙위원직을 따낸 염동연 의원은 경선과정에서 민주당과 재통합을 공약으로 내걸었을 정도로 적극적이다. 그럼에도 가능성이 희박한 것은 당내 개혁파의 반대와 구원(舊怨) 탓이다. 민주당은 불법대선자금과 민주당의 부채가 모두 노무현 대통령 측의 책임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노 대통령 쪽에서는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민주당 주류로부터 지원 받은 게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재합당론이 거론되자 4일 브리핑을 자청, “민주당은 재합당이 있을 수 없다고 전당대회에서 결의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면서 “합당론을 말하기 전에 대선자금 문제부터 책임지라”고 촉구했다. 열린우리당으로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사안들이다. 합당논의가 진전될 경우 4ㆍ30 재ㆍ보궐선거에서 득이 크지 않다는 전략적 판단도 재통합의 걸림돌이다. 결국 당장은 어렵다는 결론에 이른다. 다만 4ㆍ30 보선에서 열린우리당이 패할 경우 과반의석 확보를 위해 합당론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은 남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민주당이 지분 이상의 대우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 논란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