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설을 즐겁게] "널뛰고 연날리며 새해 맞으세요"

제비차기·비석치기 등 아이들과 함께 해볼만



우리 조상들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자치기, 투호, 널뛰기, 굴렁쇠, 연날리기 등 철에 맞는 ‘놀이’를 즐겨왔다. 오랜 세월이 지남에 따라 놀이는 철 바뀜과 공감대를 가지는 가장 재미있고 뜻 깊은 ‘삶의 양식’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설날엔 주변의 고궁과 능, 공원 등을 찾아 묵은 철을 보내고 새 철을 맞는 뜻의 세시 민속놀이를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 ◇연날리기=연(鳶)은 원래 '소리개'를 뜻한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이전부터 군사용이나 액땜용으로 사용했다. 액땜용의 경우 정초에 연에다 액땜용 글을 쓰고, 해질 무렵까지 띄우다가 연줄을 끊어 멀리 날려버렸다. 연으로 하는 놀이로는 높이 띄우기, 재주 부리기, 연싸움이 있다. 재주 부리기는 상하좌우, 급전, 급강하, 급상승 등의 공중곡예를 보이는 것이며, 연싸움은 연줄을 서로 대어 끊는 놀이로, 연줄의 세기와 연의 조종술이 승패를 좌우한다. 이때 연줄을 튼튼하게 하려고 돌가루나 구리가루 혹은 사기가루를 아교에 섞어 바르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연은 대부분이 직사각형 모양의 '방패연'과 마름모꼴의 '가오리연'으로 나뉜다. 연줄은 예전에는 주로 명주실이나 무명실을 사용했지만, 최근엔 나일론 실을 많이 쓴다. 연을 조정하는 얼레는 실을 감는 기둥의 수에 따라서 납작 얼레(2모 얼레), 4모 얼레, 6모 얼레, 8모 얼레, 둥근 얼레가 있다. ◇비석치기=비석(飛石)은 돌이 날아다닌다는 뜻으로 아이들이 돌을 던지며 논다는 의미다. 돌을 이용한 놀이 중 가장 발달된 놀이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행해졌으나 지금은 찾아보기 어렵다. 놀이방법은 운동장, 공터 등의 공간이 있는 곳에서 넙적한 돌을 각자 골라 5∼6m정도의 거리를 두고 두 줄을 긋는다. 누가 먼저 공격할 것인가를 정하고, 진 편은 비석을 세워 놓고 이긴 편은 차례로 돌로 비석을 맞힌다. 맞히면 계속 던질 자격이 있고 못 맞히면 그 사람은 죽게 된다. 공격하는 사람이 모두 죽은 경우에는 수비를 해야 한다. 마지막 단계(장님)까지 먼저 통과하면 이긴다. 놀이 순서는 선 채로 그냥 던지기->한 발 뛰어 던지기, 두발 뛰어 던지기, 세 발 뛰어 던지기 외에 돌의 위치에 따라 도둑발(발등)->토끼뜀(발목 사이)->오줌싸개)(무릎 사이)->가랑이(가랑이 사이)->배(배 위)->손등(손등 위)->신문팔이(겨드랑이)->훈장(어깨)->떡장수(머리 위)->장님(눈을 감은 상태에서 돌을 찾는다) 순으로 진행된다. ◇자치기=자치기는 긴 막대기와 짧은 막대기 두 개로 치고 받으면서 노는 놀이이다. 지방에 따라 '오둑떼기', '메뚜기치기', '토끼방구', '땟공치기'라고도 불렀다. 놀이 방법은 우선 땅바닥에 동그랗게 구멍을 파고 주변에 원을 그린다. 두 명 혹은 두 편으로 나누어 각각 공격과 수비를 맡는다. 공격하는 쪽이 막대기를 쳐서 날리는데, 상대편이 이를 잡으면 공격과 수비가 바뀌거나(두 명일 경우) 친 사람은 실격된다. 못 잡을 경우에는 상대편이 짧은 막대기를 주워 구멍으로 던지고 공격자는 이를 되받아 쳐서 짧은 막대기가 떨어진 자리에서 구멍까지의 길이를 긴 막대기로 재서 자수내기를 한다. 이때 긴 막대기 하나가 한 자(尺)가 된다. 일정한 자수를 정해서 승부를 내거나, 여럿이서 하는 경우는 한 편이 모두 실격할 때까지의 자수를 재어 어느 편이 더 많은가를 겨룬다. 겨울철에 집 앞이나 동네의 넓은 마당에서 수시로 놀았던 것으로 아이들의 체력단련과 숫자에 대한 인식을 키울 수 있었다. ◇제기차기=제기차기는 사내아이들이 주로 겨울철에 행하는 놀이이다. 한가운데 구멍이 뚫어져 있는 엽전이나 쇠붙이 등에 한지, 헝겊, 털실을 달아서 술을 만든 다음, 이것(제기)을 땅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회수를 거듭하여 발로 차 올리는 놀이로서, 가장 많은 회수를 기록한 사람이 이기는 놀이다. 제기 만드는 법뿐 아니라 노는 방법도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다. 또 반드시 겨울철이 아니더라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놀이이기도 하다. 놀이 방법으로는 ‘외발 차기’, ‘두발로 차기’, ‘땅에 한발 안대고 차기’등 기본적인 기술 외에도 갖가지 방법이 있다. 차다가 손으로 제기를 잡게 되면 처음부터 다시 할 수 있다. 제기차기에서 진 친구는 이긴 친구에게 제기를 던져주는 서비스도 한다. 던져준 제기를 친구가 못 차내거나 던진 제기를 받았을 때는 순서를 바꾼다. 민속놀이는 이곳서-창경궁외 고궁·능 무료개방 전국 곳곳에 산재해 있는 고궁과 능, 민속촌, 공원 등에서 민속놀이를 즐길 수 있다. 한국민속촌(031-288-2941)은 설 연휴기간(8~13일) 농악을 비롯한 줄타기, 전통혼례, 닭몰이, 복조리ㆍ연만들기 등 다채로운 민속놀이를 펼친다. 문화재청은 설 연휴기간인 2월 8~10일 창경궁을 제외한 고궁과 능ㆍ원 등 전국 사적지 22개소와 목포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을 무료 개방한다. 종묘를 제외한 이들 사적지에서는 널뛰기와 제기차기, 팽이치기, 투호 등 민속놀이 마당이 마련되며, 창덕궁은 종전처럼 한복 착용자에게 무료 관람이 허용된다. 23곳의 유적지가 개방되고,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국립민속박물관도 2월 8일부터 23일까지 총 16일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및 서울시 무형문화재 공연 등을 비롯,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민속놀이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공연으로는 북청사자 놀음(중요무형 제15호), 송파산대놀이(중요무형 제49호), 동래야류(중요무형 제18호) 등이 있다. 이 밖에 대전 엑스포과학공원(042-866-5114), 전주 전통문화센터(063-280-7000), 국립국악원(02-580-3300)은 물론 각 지자체들도 자체 문화예술 기관들과 함께 다채로운 설 민속놀이와 공연을 선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