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적립금 7조원 가진 사립대, 장학금 전환은?

4년제 사립대 절반, 적립금 7,000억원 장학금지급

막대한 적립금을 쌓으면서도 등록금 인하나 장학금 지급에는 인색했던 사립대 104곳이 적립금 약 ,7000억원을 장학금에 쓰기로 했다. 참여 대학은 전체 4년제 사립대(198개교)의 52.5%에 이른다. 현재 누적 장학적립금(6,637억원)과 합산할 경우 총 장학적립금은 1조3,403억원이 되며 약 570억원의 장학금 지급 효과(대학 적용 연리 4.2% 기준)가 기대된다. 23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임해규(한나라당)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사립대학 장학적립금 전환 현황'에 따르면 4년제 사립대 104개교가 용도 전환이 가능한 누적 적립금(6조3,455억원)의 11.2%에 해당하는 7천91억원을 장학 및 연구 적립금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최근 확정했다. 7,091억원 중 장학적립금이 6,766억원, 연구적립금이 325억원이다. 사립대들은 건축ㆍ연구ㆍ장학ㆍ퇴직ㆍ기타(발전기금ㆍ교직원 복지기금 등) 등 크게 5가지 명목의 적립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건축ㆍ퇴직ㆍ기타 적립금을 장학ㆍ연구 적립금으로 전환해 장학금 지급과 연구비 지원에 쓰기로 한 것이다. 장학적립금을 가장 많이 확충하는 대학은 적립금 규모 1~2위를 다투는 이화여대(1,350억원)이며 비슷한 규모의 적립금을 지닌 홍익대는 550억원을 전환했다. 또 연세대(490억원), 동덕여대(350억원), 대구대(305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숙명여대(240억원), 인하대(228억원), 경남대(200억원), 계명대(196억원), 가천대(183억원), 우송대(150억원), 건국대(122억원), 성신여대(114억원), 동서대(112억원), 광운대ㆍ경성대ㆍ국민대(각 100억원), 가톨릭대(68억원), 청주대(64억원), 고려대(44억원) 등도 장학금 재원을 크게 늘렸다. 연구적립금의 경우 청주대(90억원), 고려대(65억원), 국민대(50억원), 연세대(41억원), 가톨릭대(16억원), 동서대(10억원), 숙명여대(1억원) 등이 확충키로 했다. 그러나 누적 적립금 상위 20개 대학(2010 회계연도 기준) 중 수원대ㆍ세명대ㆍ영남대ㆍ덕성여대ㆍ서울여대ㆍ경희대ㆍ건양대ㆍ조선대는 교육과학기술부에 전환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최근 5년간 사립대의 누적 적립금 총액은 2006년 4조8,797억원, 2007년 5조5,833억원, 2008년 6조3,186억원, 2009년 7조874억원, 작년 7조6,806억원이었다. 임해규 의원은 "정부가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해 내년 예산을 대폭 증액하면서 대학의 자구 노력도 함께 요구해왔는데 이에 대한 결실이 나타난 것"이라며 "그러나 더 많은 대학이 정부의 등록금 부담 완화 계획에 동참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