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로 인한 실물경제 침체가 우려 단계를 지나 현실화하고 있으며 그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자동차ㆍ철강ㆍ정보통신(IT) 등 거의 모든 업종에 걸쳐 기업의 실적악화, 감산, 감원 등 우울한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ㆍ유럽ㆍ일본의 경제성장률 전망은 계속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세계경제 침체의 충격을 완충할 대안으로 꼽혔던 중국도 성장률이 크게 둔화되면서 5년 만에 한자릿수로 떨어질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글로벌 신용경색과 주식ㆍ부동산 등 자산가치 하락으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며 판매가 감소하는 데 따른 것이다.
이제 글로벌 금융시장은 금융 쪽보다는 실물경제 쪽에 더 영향을 받고 있다. 그제 미국 연방제도이사회(FRB)가 기업어음 매입에 들어가는 등 구제금융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했는데도 뉴욕증시가 하락한 것은 기업의 실적악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신용경색보다는 실물경제 침체가 금융불안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파는 우리 경제에도 밀려들고 있다. 자동차 수출은 미국ㆍ유럽은 물론 중국ㆍ러시아 등 신흥시장에서까지 줄어들고 있으며 현대차 미국 현지공장은 감산에 들어갔다. 포스코ㆍ동부제철 등 철강업체도 감산에 돌입했고 항공ㆍ해운 등 운송업체는 여행객 및 물동량 감소의 여파로 비상이 걸린 지 오래다. 조선도 신규선박 발주량 감소를 걱정하는 상황이다. 주력산업의 고전은 내년 우리 수출증가율이 한자릿수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실감나게 한다.
문제는 이 같은 경기침체가 언제 끝날지 단언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일러야 오는 2010년이며 경우에 따라 더 오래갈 것으로 전망돼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각국이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을 서두르고 있다는 것이 그나마 기대를 걸게 하는 대목이다. 우리도 경기악화를 막기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금리인하, 재정지출 확대 등 내수진작과 고용창출을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실기하지 말고 동원해야 한다. 부작용이 우려되기도 하지만 지금은 경기침체를 막는 것이 우선이다. 기업들도 제품경쟁력 강화, 신시장 개척 등 위기타개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