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공매도 내역공개 기관 투자위축 우려"

WSJ "증시 환경 교란 가능성"

증시 환경 개선을 위해 실시된 공매도 내역 공개가 투자 여건을 되려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공매도 현황에 대한 공시가 이날부터 시작되면서 기관의 주식 투자가 위축되는 등 증시 주변 환경이 교란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공매도는 하락 장세가 예상될 경우 수중에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먼저 팔고 나중에 되산 뒤 팔아 시세차익을 올리는 기법으로, 증시 하락세 확산의 주범으로 몰리며 한시적 규제 강화에 직면해 있다. WSJ은 사모펀드 등 공매도 기법을 사용해 온 주요 기관들이 '비밀성'이라는 가장 큰 투자수단을 잃게 된 가운데 이 같은 공시가 의도하지 않은 다양한 변화를 낳을 수 있다고 평했다. 신문은 우선 공매도 내역 공개가 주식 유동성에 예기치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평했다. 공매도를 실시해 온 주요 기관들은 포지션 공개에 대한 두려움으로 관련 주식 투자에서 손을 떼거나 지분을 더 이상 매입하지 않을 수 있다. 개정 규정에 따르면 1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운용하는 기관 투자자 중 유통 주식 지분이 100만 달러 이상인 경우 공매도 현황을 매주 보고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기관이 지분 추가에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엿보인다. 또한 공매도 여부를 전반적인 시황 판단에 활용해 온 잇단 모방 투자 역시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밖에 공매도가 다량 일어난 종목은 시장이 오르기 시작하면 주가가 오를 가능성 역시 높은데, 이를 반영한 투자 패턴 역시 위축될 수 있다는 평가다. 질 피쉬 펜실배니아대학 교수는 "전통적으로 공매도 세력은 루머를 확산시켜 회사를 망가뜨린다는 주장에 약했고, 회사들은 이를 하락기 홍보전략을 구사해 왔다" 며 "공매도 내역 공개는 시장이 교묘히 조정을 받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새 규정에 따르면 해당 기관은 매 주 첫 거래일에 전 주 공매도 현황을 보고해야 하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두 주 뒤 이를 시장에 공개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