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달 6대 이벤트에 금융시장 달렸다

[길잃은 돈 어디로]


돈의 흐름이 뚜렷한 방향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금융시장의 흐름을 알고 싶다면 이번달 연이어 이어지는 6가지의 핵심 이벤트를 바라볼 것을 국제금융센터가 주문했다. 센터는 2일 내놓은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점검'이라는 보고서에서 11월 한달 동안의 대형 이벤트들을 정리했다. 보고서가 꼽은 이벤트는 ▦미국 중간선거 ▦주요 선진국의 양적 완화(유동성 공급) 조치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유럽연합(EU)과 일본의 3ㆍ4분기 지표 ▦신흥국의 추가 자본유입 억제책 ▦미ㆍEU 정상회의 등 6가지. 보고서는 이 중에서도 주요국의 양적 완화와 G20 정상회의의 구체적 성과가 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보았다. 3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필두로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BOE)이 4일, 일본은행(BOJ)이 5일 각각 금리 수준을 정한다. 물론 금리의 방향성은 동결 쪽으로 잡혀 있는 상황. 시장의 관심사는 역시 경쟁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양적 완화 규모다. 보고서는 "시장에서 미국의 추가 양적 완화는 6,000억∼1조5,000억달러 규모일 것으로 관측하며 일정을 하루 앞당긴 일본도 추가 양적 완화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양적 완화는 G20 경주 재무장관 회의를 전후해 잠시 소강 상태에 빠져 있는 주요 국가 간의 환율전쟁을 다시 촉발할 수도 있다. 양적 완화에 따라 국가별로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추려 할 것이고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의 화폐가치를 높이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더욱 주목을 받는 것이 G20 정상회의다. 이번 회의에서는 경상수지 목표제 등 구체적인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치열한 샅바싸움이 불가피하다. 이는 역설적으로 지난 재무장관 회의에서 만들어 낸 '시장결정적 환율제도'를 구체적으로 수치화하고 세밀하게 합일점으로 끌어내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이런 점에서 "G20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와 관련해 상징적이고 원론적인 원칙을 언급하는 데 그친다면 각국의 통화가치 절하 경쟁은 중단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경우 다음 순서는 역시 신흥국들의 움직임이다. 선진국의 양적 완화 속에서 신흥국들은 자국의 과도한 화폐가치 절상을 막기 위해서라도 밀려드는 달러를 차단해야 하고 이를 위해 자본유출입 통제 조치를 순차적으로 꺼낼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G20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에 대한 속 시원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 "신흥국들이 자본유입을 억제하려는 각종 조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취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우리나라 역시 G20 회의의 결과에 따라 외국인 자본유출입 대책의 강도와 발표시기를 조절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