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는 수온이 높아져 하천이나 호수 등에 영양물이 과다 공급되면서 물속의 녹조류가 대량 증식할 때 자주 발생한다. 이번 녹조 역시 한반도를 강타한 기록적인 폭염과 강우량 부족에 따른 생태계 변화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수돗물의 악취도 남조류에서 나오는 지오스민이라는 물질 때문인데 인체에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독성물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마이크로시스티스가 미량 검출되는데다 조류발생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높아 마음을 놓을 수가 없다.
이런데도 환경부 등 당국은 한달이 지나서야 뒤늦게 수질상태를 공개하고 별다른 대책도 내놓지 않는 등 안일한 자세를 보여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주의보를 발령하고도 시민들에게 끓여 먹으면 된다는 말만 되풀이할 뿐이다. 심지어 비가 내리면 해결될 것이라며 태풍이 오기만을 학수고대한다니 답답한 일이다. 당국의 무책임한 자세는 녹조를 4대강 사업과 연관 짓는 무책임한 정치공세에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에는 과학적 근거도 없이 4대강 사업에 따른 유속감소가 녹조를 초래했다는 등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주장이 난무하고 있다.
당국은 무엇보다 국민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 설령 녹조에 날씨 요인이 있더라도 마냥 하늘 탓만 하는 것은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 다양한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녹조현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하루빨리 내놓아야 한다. 당장 녹조가 심한 곳에는 황토살포를 확대하고 방류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또 한강 상류지역에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수자원공사 등으로 흩어져 있는 현행 수질관리 시스템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