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1월 22일] '노벨과학상 프로젝트' 기대된다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고급인재 육성정책이 본격 추진된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위원회는 국내 과학기술 수준의 획기적인 향상을 위해 순수과학 분야의 20~30대 젊은 과학자들에게 파격적인 조건의 대통령 특별장학금을 제공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국격 제고를 위한 인재육성방안'을 내놓았다. 이 노벨과학상 프로젝트가 제대로 추진될 경우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이공계 기피현상을 개선하고 영재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과학영재 육성에 적극 나서려는 것은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개최할 만큼 우리의 국격이 높아졌지만 기초과학 분야의 경쟁력은 매우 취약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일본이 올해 2명의 노벨화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것을 비롯해 지금까지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14명에 이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우리 국력에 비해 과학기술이 뒤지는 가장 큰 이유로는 과학자에 대한 처우가 열악하다는 점이 꼽힌다. 가령 지식경제부 산하 7개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인력 가운데 비정규직 연구원 비중이 평균 39.3%에 달할 정도로 과학자들의 연구환경도 나빠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이공계 대학생 이탈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지금과 같은 기술경쟁 시대에 국내 산업이 선진국을 추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원천기술의 해외의존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기술개발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우수한 인재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뛰어들도록 정책적인 유인이 있어야 한다. 영재를 위한 교육비지원은 물론 우수한 인재들이 한눈 팔지 않고 과학기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보상체계를 보완하고 연구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학기술정책도 단기 성과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고도의 기술개발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전환돼야 한다. 아울러 해외 유명 과학자들과의 공동연구 등 글로벌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등의 내용을 담은 '국제과학비즈니스 특별법' 제정도 서둘러야 한다. 노벨상을 겨냥하는 과학영재 교육계획이 구두선에 그쳐서는 안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