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쌍수 한전 사장, 임기 3일남기고 사의왜?

주주 소송 등 자존심 상처<br>후임에 김중겸씨 내정따라<br>연임도 사실상 물건너가<br> 일부선 '정치적 항변' 해석


김쌍수(사진) 한국전력 사장이 임기를 불과 3일 남기고 청와대와 지식경제부에 사의를 표명했다. 이를 두고 최근 주주 소송 등으로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김 사장의 '정치적 항변'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23일 지경부에 따르면 김 사장은 오는 26일로 예정된 임기 만료를 목전에 두고 사의를 표명했다. 아직 신임 사장 공모 절차가 진행되고 있어 김 사장은 업무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관상 후임자가 선임될 때까지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서둘러 물러나는 쪽을 택했다. 정부와 전력업계에서는 사의 배경으로 최근 김중겸 전 현대건설 사장에 대한 후보 검증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연임이 사실상 물 건너갔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무배당과 주가 하락을 못 견딘 소액주주 14명으로부터 낮은 전기요금에 따른 회사 손실을 배상하라며 2조8,000억원에 달하는 소송까지 당하자 상당히 억울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개인 상대의 소송이라 김 사장은 당장 수억원 규모의 변호사 선임비용을 내야 할 처지가 됐다. 재임기간 내내 전기요금 현실화와 연료비연동제 등을 주장했지만 정부가 물가 등을 감안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공기업 최고경영자(CEO)의 경영권 독립성을 훼손했다는 불만을 사의 표명으로 나타냈다는 것이다. 김 사장은 취임 후 내부적으로는 경영혁신을, 대외적으로는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 쾌거 등을 이끌며 민간인 출신 CEO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그러나 LG 출신의 이윤호 주러시아 대사가 지경부 장관 자리에서 물러난 후 지경부 관료들과 마찰을 빚는 일이 잦아졌다. 최근에는 한전과 4개 발전 자회사들이 김 사장 부임 후 소모성자재(MRO) 구매처를 중소기업에서 LG서브원으로 바꾼 것이 알려지면서 연임 불가론이 제기됐다. 김 사장의 느닷없는 사임으로 청와대와 정부는 느긋하게 추진하던 후임 사장 인선 절차를 다급하게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건설업계와 현대ㆍ기아차그룹, 지경부 등에서 각종 문제를 제기했지만 김중겸 전 사장에 대한 인사검증을 끝내고 차기 한전 사장으로 내정했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는 당초 다음달 7일 개최 예정이던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다음주 초 열어 김중겸 전 사장을 한전 사장으로 승인할 예정이다. 한편 김 사장은 25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집무기간 3년 동안의 소회와 사의 표명 배경에 관한 입장을 밝히는 데 이어 오는 29일 퇴임식을 가질 예정이다. 이후 김 사장은 LG전자 고문으로 자리를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한전은 후임 사장이 선임될 때까지 약 3주간의 공백기간에 김우겸 부사장 직무대행체제를 가동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