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2011 삼성 승부수] 삼성SDS

선진국으로 사업영역 확대<br>글로벌 ICT기업 도약 나서

삼성SDS는 지난 2009년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승차권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구축을 마치는 등 해외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사진제공=삼성SDS


올해 삼성SDS는 해외사업 확대와 '융합(Convergence)'형 사업 강화에 매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년 대비 20%의 매출 성장(4조8,000억원)을 이뤄내고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복안이다. 경영기조는 '창의와 혁신을 통한 성장'으로 잡았다. 삼성SDS는 우선 전자정부, 철도교통 솔루션 등의 사업을 중심으로 기존 중국ㆍ동남아시장에서 선진국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해외매출 비중을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삼성SDS는 지난해 베트남과 코스타리카에서 전자조달 시스템 구축사업을 수행했다. 베트남에선 33억원 규모의 전자조달시스템, 코스타리카에는 약 113억원 규모의 전자조달 시스템인 '메를링크(MERLink)'을 구축해 앞선 한국 IT서비스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코스타리카 전자조달시스템은 지난 2008년 한 해 63조원이 거래되고 3만9,000개 공공기관과 15만개 기업이 이용하는 국가종합 시스템으로 국제연합(UN)에서도 국제표준으로 선정되는 등 국제적으로도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또 중동 지역에선 4억4,000만 달러 규모의 쿠웨이트 유전 보안시스템을 수주해 중동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는 쿠웨이트 전역의 92개 유정시설을 하나로 통합해 감시ㆍ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밖에 스리랑카 콜롬보에선 930만 달러 규모의 '스리랑카 국세청 조세전산망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교통 부문 사업도 빼놓을 수 없다. 삼성SDS는 지난 2002년부터 중국 광저우(廣州)와 베이징(北京), 우한(武漢), 텐진(天津) 등에서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AFC) 사업을 수주해왔다. 새롭게 삼성SDS를 이끌 게 된 고순동 사장은 취임 전까지 해외사업을 진두지휘 해왔다는 점에서 앞으로 해외사업에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사장은 IBM 한국ㆍ아시아태평양 지사와 미국 본사, 삼성SDS 등에서 일한 IT서비스 전문가다. 삼성SDS는 또 인도와 중국에서 추진해왔던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ITS), 승차권 발매 자동화설비시스템사업(AFC), 스마트카드 등 스마트 인프라스트럭처 엔지니어링(SIE) 사업을 동남아, 중동, 남미 등 전략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SIE 사업은 교통, 철도, 도시환경관리 등에 정보기술(IT)을 적용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표적인 컨버전스형 사업이다. 특히 이전까지는 단순히 인력을 파견하는 정도의 소규모 해외 사업이 주로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지금까지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을 바탕으로 대규모의 사업을 수주한다는 게 회사측의 전략이다. 고순동 사장은 최근 "전자정부 등 성공한 해외사업 사례와 SIE 사업을 바탕으로 규모 있는 사업을 수주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SDS는 해외사업 확대와 함께 글로벌 ICT 서비스 기업 성장을 위한 역량강화 및 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올해 R&D 투자는 작년 대비 1%포인트 가량 늘려 잡았다. 지난해 R&D 투자액인 700억원에서 올해는 1,000억원 이상 투자하는 것으로, 이는 전체 매출의 3% 규모다. 이와 함께 삼성SDS는 물류 IT서비스를 새로운 사업으로 집중 육성해 매출 증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삼성SDS는 전직원의'지능형 융합 솔루션 사업자(ICSPㆍIntelligent Convergence Solution Provider)'를 목표로 창의와 혁신을 통한 성장을 일궈 나간다는 각오다. 삼성SDS는 지난해 전사적인 새로운 비전으로 'Global Top Premier ICSP'를 발표한 바 있다. 특히 ICSP의 머리글자를 딴 혁신적인 변화(Innovative), 창의적 발상(Creative),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사랑과 열정(Passionate)은 삼성SDS 임직원들이 추구하는 핵심가치다. 한편 삼성SDS의 상장설과 관련해 고 사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삼성SDS는 성과도 많고 자금도 충분하다"며 부인했다. 인수합병에 대해서는 "성장을 위한 좋은 수단이긴 하지만 고려 중인 특정 기업은 없다"는 게 공식적인 입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