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석동 금융위원장 사실상 개입

[대주단 "추가 대출 의향"] 삼부토건 법정관리 차단 위해… 방치땐 부실 확대 우려

삼부토건의 법정관리 신청 소식이 전해진 지난 12일 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당혹스러움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LIG건설 등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후폭풍이 채 가시기도 전에 도급 순위 34위의 삼부가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그것도 금융권과 제대로 된 협의도 거치지 않았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당국은 곧바로 금융권과 삼부 측의 추가 협의 필요성을 얘기했고 심야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그리고 다음날인 13일 오전 김 위원장은 한 포럼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법정관리 신청에 대한) 법원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좋은 답’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원만한 해결책을 찾도록 에둘러 압박했다. 김 위원장이 삼부의 법정관리에 대해 이처럼 적극적으로 나선 것에는 나름 이유가 있었다. 당국의 한 관계자는 “법정관리가 그룹의 ‘꼬리 자르기’로 변질되고 있는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는 우려가 정부는 물론 청와대에서도 깊게 배어 나왔다”고 말했다. 삼부의 법정관리를 방치할 경우 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가 건설사 법정관리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 의식도 발동했다. 무엇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제2의 LIG건설이 없는지 종합 점검하라”고 김 위원장에게 특별 지시한 후 건설사들의 부실이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는 점이 당국에 부담이 됐다. 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부실이 건설사들의 경영난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금융권의 부실을 확대 재생산하는 상황을 조기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