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2월 10일] 교육株의 부진

SetSectionName(); [기자의 눈/2월 10일] 교육株의 부진 정영현 기자 (증권부) yhchung@sed.co.kr

증시는 민첩하고 냉정하다. 특히 코스닥시장은 정부가 무엇을 중요시하는지를 주시하며 주가에 그대로 반영한다. 그래서 '정책 수혜주'라는 말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올 들어서도 이미 원자력ㆍ소프트웨어ㆍ우주ㆍ제약 산업 등이 정부 정책 수혜주로 거론되며 들썩거렸다. 반면 정부가 관심을 두지 않는다 싶으면 시장은 냉정하게 해당 업종에서 관심을 거둬들인다. 대표적인 게 '교육'이다. 2년 전 현 정부가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을 때 코스닥시장의 가장 큰 테마는 '교육'이었다. 영어몰입교육, 사교육비 경감, 방과후학교 등 교육 관련 정책이 정권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연일 쏟아졌다. 교육 관련 정책이나 계획이 나올 때마다 교육업체들은 수혜주로 떠올랐다. 교육주들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고 교육업체의 우회상장도 잇따랐다. 하지만 지금은 교육업체의 주가 움직임이 눈에 띄지 않는다. 정책 수혜주로 여기는 분위기도 거의 사라졌다. 실적이 좋은 업체나 그렇지 않은 업체나 주가 흐름은 똑같이 부진하다. 이렇게 홀대를 받게 되자 최근에는 교육업체를 '아이패드' 수혜주로 엮으려는 시도까지 등장했다. 분석 리포트를 통해 교육업체를 아이패드 수혜주로 꼽은 이유를 보고 있노라면 그럴싸하다는 생각이 들다가도 억지가 심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아무리 시대가 흐르고 정보기술(IT)이 발전해도 IT가 교육의 '주인'이 될 수 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주가는 기업의 가치와 실적을 바탕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실적이 좋아도 투자자의 관심이 없으면 기업의 가치는 주가에 반영되지 못한다. 특히 코스닥시장에서는 정부의 정책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발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교육주가 생기를 잃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정부가 경제 살리기에 매달리기 시작한 시점부터다. 교육주의 부진, 현 정부 교육정책의 부재 혹은 부족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런일도… 부동산시장 뒤집어보기] 전체보기│ [실전재테크 지상상담 Q&A] 전체보기 [궁금하세요? 부동산·재개발 Q&A] 전체보기│ [알쏭달쏭 재개발투자 Q&A] 전체보기 [증시 대박? 곽중보의 기술적 분석] 전체보기│ [전문가의 조언, 생생 재테크] 전체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