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원전강국' 입증…수출 크게 늘듯

■ 터키 원전 수주 11월 확정<br>양국 공동연구 마무리 내주부터 본격 협상 돌입<br>한국 원전 가격등 경쟁력…추가 수주 계기될듯



아랍에미레이트(UAE)에 이어 터키 원전 수주가 오는 11월 사실상 확정되면 우리나라는 명실상부한 원전 강국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터키 원전을 수주하면 'UAE 원전 수출을 실력이 아닌 운'으로 폄하하는 경쟁자들의 주장을 불식시킬 수 있다.

또 전력수요 증가와 온실가스 규제로 원전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는 반면 원전수출이 가능한 업체 수는 줄어 우리나라의 해외 수출은 그 만큼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UAE 원전을 수주한 이후 폴란드ㆍ핀란드ㆍ말레이시아 등 원전건설을 계획한 모든 나라가 한국을 주요 협상대상국에 포함시키고 있어 터키 수주가 확정될 경우 해외 수출이 상당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UAE 수주를 두고 진짜 실력이 아니라 우연이라고 비난하는 곳도 있다"며 "8개를 동시에 지으면서 2개 정도를 해외 수주하면 경쟁력을 완전히 굳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터키와 공동연구 마무리…협상 시작= 한국전력과 터키 국영발전회사가 지난 5개월 동안 진행한 시놉 원전사업 공동연구가 이번 주에 마무리된다. 공동연구 보고서에는 시놉 지역에 APR1400 2기를 짓는데 필요한 비용 등이 담긴다. 양국 정부는 이를 토대로 다음 주부터 정부간 협약(IGA)을 위한 협상을 시작한다. 정부간 협약에는 원전 위치와 규모, 사업방식 등 사업 협력에 대한 중요사항과 함께 양국 정부의 지원내용이 포함된다.

현재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법적인 책임 문제와 자금조달. 지경부 관계자는 "터키원전 계약의 핵심은 법제도적인 문제와 파이낸싱 두 가지인데 같이 맞물려 있다"며 "이제부터 협상을 해 봐야 알겠지만 11월까지 결론을 내고 정부간 협약을 맺는다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터키 정부가 사고 등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부담하면 자금조달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로선 수주 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터키가 원전을 싸게 짓고 싶었다면 수의계약이 아닌 경쟁입찰 방식을 택했을 것"이라며 "터키가 무리한 요구로 한국과의 수의계약을 깬다면 원전 건설이 몇 년 늦춰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전 수요는 늘고 공급자는 제한적= 우리나라가 UAE에 이어 터키 원전까지 수주하면 세계시장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입지를 탄탄히 굳히면서 수주는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해외 전력시장의 수요 증가와 온실가스 규제로 원전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IEA전망에 따르면 전세계 전력 수요는 2035년까지 연 평균 2.3%, 특히 개발도상국은 3.3%의 높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온실가스 규제는 더 강화돼 원전 수요는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1,000MW급 기준으로 약 400기 이상의 원전이 추가 건설돼야 한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세계 원전시장에서 자체 노형을 갖고 수출하는 곳은 아레바ㆍ미쯔비시, GEㆍ히타치, 도시바ㆍWEC, 아톰에너르고포롬 등 4곳 뿐이다. 우리나라 원전은 건설단가와 공기, 가동률 등에서 월등한 수준이어서 원전을 처음 도입하는 국가에게 상당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결국 터키 수주가 추가 해외 수출의 물꼬를 트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