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철강가격 인상이 몰고올 파장과 대응

제조공산품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철강 가격이 들썩이고 있어 물가불안이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일본 철강업체들이 국내 철강 및 조선업체에 제품 가격 대폭적인 인상을 요구하고 나서 철강 가격 상승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감안할 때 국내 철강업체들도 조만간 가격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철강은 거의 모든 제조공산품의 기초소재라는 점에서 가격인상에 따른 파장도 그만큼 클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철강의 비중이 높은 조선업체들은 원가부담 상승과 채산성 악화 등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일본 JFE스틸은 국내 철강 및 조선업체와 2ㆍ4분기 제품 가격 협상을 앞두고 후판은 톤당 300달러, 열연강판은 250달러 인상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는 1ㆍ4분기에 비해 각각 40%, 38%나 높은 것이다. 앞으로 협상과정에서 다소 낮아질 수 있지만 상당폭의 가격상승은 불가피해 보인다. 철광석과 유연탄 등 철강 원료 값이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본 철강업체들이 가격인상에 나섬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가격인상도 불가피해졌다.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부담은 국내 업계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가격인상 요인에도 불구하고 정부 물가안정정책에 부응해 가격인상을 자제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본 업체들이 공급가격을 대폭 인상함에 따라 더 이상 가격인상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을 맞고 있다. 특히 수입의존도가 높은 열연제품의 경우 가격인상 요인이 커 값을 올리지 않을 경우 채산성 악화와 생산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눈치를 살피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어서 선뜻 가격인상에 나서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수출증대가 한가지 대안일 수 있지만 국내 공급부족과 수입확대를 초래해 오히려 물가불안을 증폭시킬 우려가 크다. 거의 모든 산업의 기초소재로 쓰이는 철강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 업체들이 일본업체와의 협상과정에서 인상폭을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협상력을 발휘해야 한다. 정부도 무조건 가격을 억누를 것이 아니라 시장기능이 작동하도록 해 생산과 공급이 늘어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