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림청, 2월부터 산불방지 비상체제 돌입

3ㆍ4월엔 소각금지기간 정해 특별대책 산림청(청장 정광수)은 다음달 1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해 비상 체제에 돌입한다고 27일 밝혔다. 특히 이 기간중 산불위험이 가장 높은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는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 모든 산림행정력을 산불방지에 집중한다. 산림청은 또한 산불에 대응 감시인력을 연간 고용인원의 80%까지 확대해 이 기간에 2만5,000명을 운영하고 감시 인력의 근무시간도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탄력적으로 운용하도록 했다. 지난해 산불조기 신고에 탁월한 성과를 거뒀던 ‘산불신고 GPS단말기’를 지난해보다 5,000대 증가한 1만4,000대를 보급하고 성능 또한 대폭 개선, 실시간으로 전국 산불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산림헬기는 산불조심기간 동안 가동률이 9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산불위험 지역에 이동배치해 현장 도착 시간도 단축할 계획이다. 지자체가 운용하는 임차헬기는 광역 단위로 통합ㆍ운영해 인접 시ㆍ도, 시ㆍ군간 산불 진화에 공조 투입할 계획이다. GPS 기능이 있는 ‘헬기 안전운항 정보시스템’도 본격적으로 운영해 헬기 안전 운항과 산불 진화 효율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김남균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헬기가 확충되고 산불상황 관리의 과학화ㆍ첨단화로 산불대응력이 크게 향상됐지만 올해 봄 강수량이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보되고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방제작업이 산불철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산불대응력 약화가 우려된다”며 “소중한 산림을 산불로부터 지키기 위해 산불예방과 감시활동에 국민 모두가 적극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