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융위, 여의도 안떠난다

당초 서울지방조달청사 이전계획 접고 금감원 건물 계속 사용할듯<br>정부종합청사 공간부족따라 재배치…과천은 계획대로


재정경제부의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위원회의 감독정책 기능을 함께 수행할 금융위원회가 금감위 시절부터 써온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건물을 계속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또 지난달 화재가 발생했던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 2개 층씩 스프링클러가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2일 정부청사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금융위는 당초 공정거래위원회와 함께 서울지방조달청사(서초구 반포로)를 쓰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었지만 지난 2월29일 확정된 ‘정부청사 재배치계획’ 대상에서 빠졌다. 정부중앙청사 스프링클러 설치 작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사무실 면적이 당초 예상보다 줄어든데다 정부조직개편으로 발생한 정원 초과 인력 등으로 꾸려질 범정부 차원의 각종 태스크포스(TF)가 쓸 사무공간이 마땅찮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는 금감원 건물에 잔류해도 사무공간 확보 등에 별 문제가 없다. 새 정부의 태스크포스 운영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한 달 정도 지켜본 뒤 금융위 이전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정부중앙청사 스프링클러 설치 작업과 관련, “화재가 났던 5층과 외교통상부가 쓰는 별관으로 옮기는 통일부가 쓰던 4층을 비우고 공사한 뒤 (국무총리실ㆍ교육과학기술부ㆍ행정안전부 등이) 돌아가며 4ㆍ5층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내년까지 공사를 끝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행정안전부는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ㆍ차관과 주요 부서의 경우 이달 초부터 새 보금자리로 우선 입주하고 이달 말까지 모든 이전 작업을 마무리해달라고 각 부처에 요청했다. 한편 과천청사는 당초 계획대로 1동은 기획재정부(3~8층)와 노동부(2~3층), 2동은 농림수산식품부(3~8층)와 환경부(2~3층), 3동은 지식경제부(2~7층)와 노동부(1~2층), 4동은 국토해양부, 5동은 법무부(1~5층)와 환경부(1, 6~7층)가 쓰기로 했다. 해양수산부와 국가청렴위원회가 임차해 쓰던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빌딩에는 보건복지가족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일부가, 정보통신부가 쓰던 광화문 KT 건물에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부 일부가, 행정안정부로 흡수 통합된 중앙인사위원회가 쓰던 중구 무교동 프리미어플레이스 빌딩은 여성부와 행정안전부 일부가 쓰기로 했다. 국민고충처리위원회와 국가청렴위원회, 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가 통합돼 출범한 국민권익위원회는 고충위가 사용해온 건물을 쓰게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