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 겉으론 우려 속으론 쾌재/유럽 통화단일화 불투명

◎프랑화 약세… 달러 강세는 지속될듯【뉴욕=김인영 특파원】 워싱턴의 미 행정부 관리, 뉴욕의 외환딜러들은 요즘 프랑스 총선의 사회당 승리, 독일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립 등 유럽의 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외환딜러들은 프랑스와 독일의 움직임을 보건데 일단 독일 마르크화나 프랑스 프랑화를 팔고 안전한 도피처로 미 달러화, 일본 엔화를 매입하는 경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지는 유럽 통화시장이 불투명해짐에 따라 마르크와 프랑화 등 유럽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고, 반사적으로 달러 가치는 상승할 것으로 분석했다. 유럽 각국의 사회당 정부들이 유럽 단일 통화에는 반대하지는 않지만 복지혜택을 늘리기 위해 긴축정책을 포기하고 통화량을 늘리려 할 것이므로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 행정부 관리들은 겉으로는 『유럽에 좋은 것은 미국에도 좋다』면서 오는 99년 유럽 단일화폐 출현에 지지를 밝히고 있지만, 유럽통화동맹(EMU)이 실현돼 달러의 위세가 떨어질 것을 내심 걱정하는 눈치다. 로버트 루빈 미 재무장관은 지난 2일 워싱턴의 한 모임에서 『유럽 단일통화 출범은 현재로선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짤막하게 언급했다. 그러나 다른 당국자들은 프랑스 사회당의 승리로 유럽 통화 창설이 흔들릴 것이라는 사견을 밝히고 있다. 미 재무부 관리들은 유럽 단일통화 창설이 유럽만의 일이 아니므로 이달말 덴버에서 열리는 선진 7개국(G­7) 정상회담에 의제로 상정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리오넬 조스팽 프랑스 사회당 당수의 승리가 확정된 지난 2일 뉴욕외환시장에서는 전날 1.7063 마르크에 마감된 달러 환율은 종가기준으로 1.7305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다음날인 3일 헬무트 콜 독일 수상이 분데스방크(중앙은행)와 모종의 합의에 이르렀다는 발표가 있자 달러당 1.7275 마르크로 진정세를 보였다. 증권회사인 메릴린치사는 마르크화에 대한 달러 강세는 지속될 것이지만 1.74를 넘어서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